상단영역

본문영역

청년들이 졸업을 미루면서까지 대기업에 취직하려는 이유가 밝혀졌다

'눈높이' 같은 문제가 아니다

2017년 청년(15~29세) 실업률은 9.8%로 IMF 이후 최고로 높다. 취업준비자, 구직단념자 등을 포함한 체감실업률은 22.7%에 달한다.

KDI(한국개발연구원)가 발표한 보고서(청년기 일자리 특성의 장기효과와 청년고용대책에 관한 시사점)에 따르면 한국의 청년고용 정책은 전반적으로 미흡했다. 정부는 2008년부터 2017년까지 총 21회에 걸쳐 대책을 발표했으나 중소기업 청년취업인턴제 등 단기적이며 근시안적인 대책으로 일관했다는 게 보고서의 설명이다.

ⓒ1

이는 정부의 ‘실적’과도 관련이 있다. 청년 일자리 사업성과가 일자리의 질보다 단순히 취업자 수 위주로 평가되면서 청년들의 선호와 상관없이 일단 취업이 쉬운 일자리로 유도하는 경향이 있었다.

청년들이 ‘대기업‘이나 ‘임금 높고 복지 좋은’ 회사로 취직하려는 이유도 밝혀졌다. KDI의 분석결과, 다른 조건이 동일하다고 가정했을 때 첫 취업 시 임금이 평균보다 10% 높았던 경우, 10년이 지난 후에도 평균보다 4.37%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일자리의 안정성도 차이가 났다. 이는 청년들이 좋은 첫 일자리를 얻기 위해 취업준비에 상당한 시간을 투자하게 만드는 원인이었다.

또 대졸 청년의 취업준비 기간이 길어질 경우, 경력 손실로 인해 임금이 낮아질 뿐만 아니라 동일 경력 내에서도 시간이 지나면서 임금이 낮아지는 것으로 확인됐다.

KDI는 청년들이 미취업상태에 머무르면서까지 중소기업 근무를 기피하는 중요한 이유 중 하나는 우리나라 노동시장에서 첫 일자리 특성이 매우 장기적 효과를 발생시킨다는 점이라며 경력 초기의 불운이 지나치게 오랫동안 지속되는 일을 막으려면 궁극적으로는 노동시장의 전반적인 유연성과 안전성을 강화하는 구조적 차원의 조정이 요구된다고 이야기했다.

또 노동시장 구조개혁이 당장 이뤄지더라도 성과가 가시화되려면 상당한 시일이 소요되므로 경력 초기 일자리 특성에 따른 생애소득 격차를 줄이는 정부의 개입이 한시적으로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중소기업 근로청년에 대한 소득지원 방식에 있어서도, 특정 중소기업에서의 근속을 지나치게 강조하는 방식보다 청년들이 자신에게 가장 적합한 직장을 선택하도록 허용하는 방식이 노동
시장 정착도 제고로 이어질 수 있다고 분석했으며 고졸 청년들의 경우 경력 초기에 선택가능한 일자리의 수준을 끌어올리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중소기업의 근로시간 단축과 근무환경개선 등이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허프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연관 검색어 클릭하면 연관된 모든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청년 #대기업 #취업 #실업 #중소기업 #구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