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북한이 시리아에 화학무기 재료를 수출해왔다는 증거가 나왔다

국제사회의 감시를 뚫고 대량살상무기를 거래했다.

  • 허완
  • 입력 2018.02.28 14:23
ⓒKCNA KCNA / Reuters

북한이 화학무기 제조에 쓰이는 물품 등을 시리아에 수출해왔다는 증거가 발견됐다고 유엔 조사관들이 결론 내렸다. 북한 미사일 기술자들이 시리아 화학무기 제조시설에서 목격되기도 했다.

민간인들을 상대로 화학무기를 썼다는 의혹으로 국제사회의 지탄을 받고있는 시리아와 핵·미사일 개발로 오랫동안 국제사회의 제재를 받아온 북한 사이에 이뤄진 은밀한 거래의 실상이 상세히 드러난 것이다.

27일 월스트리트저널(WSJ)뉴욕타임스(NYT) 등은 이 같은 내용이 담긴 보고서 를 입수해 보도했다. 200페이지가 넘는 분량의 이 보고서는 아직 일반에 공개되지 않았으며, 유엔 대북제재위원회 전문가들에 의해 작성됐다. 보고서 공개 날짜는 물론, 공개될지 여부도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고 이 매체들은 전했다. 

ⓒAnadolu Agency via Getty Images

 

북한과 시리아 기업들이 주고 받은 계약서 사본, 수출 품목 종류를 보여주는 선적 내역서 등이 담긴 이 보고서에 따르면, 북한이 시리아에 수출한 물품 중에는 내산성(acid-resistant) 타일, 밸브, 온도측정계 등이 포함됐다. 모두 화학무기 생산에 쓰이는 것들이다.

또 북한 미사일 기술자들이 시리아에서 목격됐다고 이 보고서는 전했다. 2016년 8월에는 북한 미사일 기술자 대표단이 시리아를 방문해 ”화학무기에 쓰이는 것으로 알려진 특별 내성 밸브와 온도측정계”를 전달했으며, 북한 기술자들이 다마스쿠스 인근 바제(Barzeh), 아드라(Adra), 하마(Hama)에 위치한 화학무기·미사일 생산시설에서 목격됐다는 것.

두 나라의 화학무기 관련 물품 거래는 2012년부터 2017년까지 이뤄졌다고 이 보고서는 밝혔다. 북한은 교역이 금지된 탄도미사일 부품 및 소재를 선박으로 시리아에 수출했다.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았던 이 거래는 최소 40건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KCNA KCNA / Reuters

 

또 보고서는 두 나라의 협력관계가 시리아 내전이 진행중인 상황에서도 계속되어 왔다고 밝혔다. 국제적 제재를 피해 두 나라가 은밀하게 살상무기를 거래해왔다는 얘기다.

이 보고서를 본 전문가들은 NYT에 이 보고서에 제시된 증거만으로는 현재도 북한과 시리아가 이같은 거래를 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없다면서도 이 보고서는 지금까지 드러난 것 중 가장 상세하게 두 나라의 은밀한 거래를 보여준다고 말했다.

보고서 내용이 전해진 시점은 여러모로 공교롭다. 최근 미국을 비롯한 여러 국가들은 시리아 정부가 민간인을 겨냥해 화학무기를 사용해왔다는 의혹을 제기해왔다. 특히 최근 시리아 다마스쿠스 인근 동(東)구타 지역에서 민간인들에게 가해진 공격에 화학무기의 일종인 염소가스가 쓰였다는 의혹이 나온 바 있다.

보고서에 언급된 내용들은 북한이 이 거래를 통해 국제사회의 제재를 뚫고 핵·미사일 개발에 필요한 자금을 확보해왔다는 증거이기도 하다. 특히 보고서에는 북한이 제재를 피하기 위해 어떻게 유령회사와 외국인들로 얽힌 복잡한 구조를 활용해 국제적으로 자금을 확보해왔는지에 대한 내용도 담겼다고 NYT는 전했다.  

ⓒAMMAR SULEIMAN via Getty Images

 

북한과 시리아는 1960년대부터 긴밀한 군사협력 관계를 맺어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 북한 기술자들은 시리아의 탄도미사일 개발과 핵발전소 건설을 지원했으며, 북한군 조종사들이 시리아 공군과 함께 임무비행에 나서기도 했다. 

1990년대에 이르러 북한은 시리아에 화학무기 프로그램 개발을 지원하기 시작했다. 미국 국방정보국에서 한국 담당 연구원으로 일했던 브루스 벡톨은 2007년 사린가스와 치명적 신경계 독성물질 VX로 채워진 탄두가 폭발하면서 시리아 기술자와 북한 및 이란 지원단이 사망한 사건을 곧 출간될 자신의 책에 소개하기도 했다.

그는 NYT 인터뷰에서 시리아와의 관계가 ”북한 군사-산업체에게는 큰 선물이 되어왔다”고 말했다. 시리아는 북한의 미사일 ‘선진 기술’을 전수 받고, 북한은 외화를 벌어들이며 서로 공생 관계를 맺어온 셈이다. 

시리아는 북한의 지원에 대한 감사의 뜻으로 2015년 다마스쿠스에 ‘김일성 기념공원’을 짓기도 했다. 내전 중에 열린 당시 개장식에는 북한과 시리아의 군 고위 관계자 등이 참석했다. 이 도시의 외교부 청사 인근에는 김일성의 이름을 딴 거리도 있다. 

저작권자 © 허프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연관 검색어 클릭하면 연관된 모든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북한 #김정은 #시리아 #김일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