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지난해 ‘탈서울' 10만명...‘집' 고민이 첫번째 사유

  • 김현유
  • 입력 2018.01.30 16:30
  • 수정 2018.01.30 16:32

서울 서초구 반포지구의 모습.

지난해 서울을 떠나 다른 지역으로 주거지를 옮긴 이들은 10만명가량 되는데, 가장 큰 원인은 주택이었던 것으로 조사됐다. 한해 전에 견주면 서울의 순유출 인구 수가 줄어들긴 했지만, 높은 주거비 부담에 따른 ‘탈서울’ 현상이 지속되고 있는 셈이다.

30일 통계청이 주민등록지를 옮길 때 제출하는 전입신고서를 분석한 ‘2017년 국내 인구이동 통계’를 보면, 지난해 국내에서 주소지를 옮긴 ‘인구이동자’는 715만4천명에 이른다. 한해 전 737만8천명에 견주면 3% 감소한 것으로, 1976년 677만3천명 이후 역대 최저치였다. 인구이동자는 1988년 997만명으로 정점을 찍은 뒤 등락을 거듭해왔으며, 2006년 934만명을 기록한 이후로 감소세를 보여왔다. 거주지 이전이 가장 활발한 20~30대 인구 감소와 경제성장률 둔화 등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끼친 것으로 풀이된다.

지역별로는 서울이 전입인구와 전출인구를 따져서 계산하는 순유출 인구가 9만8천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부산(2만8천명)과 대전(1만6천명), 대구·울산(1만2천명)에서도 순유출 인구가 많았다. 순유입은 경기도가 11만6천명으로 가장 많았고, 세종(3만5천명)과 충남(1만9천명), 제주(1만4천명) 등이 뒤를 이었다. 서울과 경기, 인천을 합한 수도권은 1만6천명이 순유입됐는데, 수도권이 순유출에서 순유입으로 돌아선 것은 2012년 이후 5년 만이다.

주소지를 옮긴 사유를 보면, 주택을 이유로 든 경우가 가장 많았다. 지난해 전입신고를 한 715만4천명 중 41.3%인 295만6천명이 이유가 주택 때문이라고 답했다. 특히 9만8천명이 빠져나간 서울의 경우 주택을 이유로 든 이들이 7만9800명(전입·전출 합산)으로, 서울 지역 순유출의 가장 큰 원인은 주택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반대로, 전국에서 순유입이 가장 많은 경기도에선 주택을 이유로 옮겨온 이들이 7만8100명으로 가장 큰 비중이었다.

높은 주거비 부담 등을 이유로 대도시를 떠나 인근 지역으로 이동하는 현상은 종전까지는 주로 수도권 지역에서 나타났는데, 지난해엔 비수도권 지역에서도 이런 흐름이 두드러졌다. 서울 다음으로 순유출이 많은 부산과 대전에서 주택을 이유로 빠져나간 인구는 2016년 각각 5800명, 4700명에서 지난해는 각각 1만4600명과 1만1400명으로 크게 늘었다. 반면 부산과 대전의 인근 지역인 경남과 세종은 주택을 사유로 한 순유입이 2016년 각각 3700명과 1만300명에서 지난해는 1만2200명과 1만6400명으로 늘었다.

다만 지난해 서울의 순유출 인구 수는 2016년 14만명에 견줘서는 4만2천명이 줄었다. 이는 정부가 지난 8월 내놓은 ‘8·2 부동산 대책’과 세종시와 지방혁신도시로의 정부기관 및 공공기관 이전이 상당 부분 완료된 데에 따른 영향으로 통계청은 풀이했다. 이지은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지난해 1~7월 인구이동은 전년 대비 -1.5% 수준이었는데 8·2 대책 발표 이후 주택거래 감소와 함께 인구이동 감소 폭도 늘어나 9~12월 인구이동은 전년 대비 -6.2%가량 됐다”고 설명했다. 서울의 경우 지난해 1~7월 전출자는 92만명으로 전년 대비 2.3% 적은 수준이었으나 9~12월 전출자는 50만9천명으로 전년보다 11.8%나 감소했다.

저작권자 © 허프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연관 검색어 클릭하면 연관된 모든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사회 #경제 #부동산 #서울 #탈서울 #경기도 #귀촌 #귀향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