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공유경제가 만드는 민주주의

지난 2012년 미국 역사상 최악으로 평가받았던 허리케인 '샌디'가 뉴욕시를 덮쳤을 때의 일이다. 뉴욕 브루클린에서 에어비앤비 호스트로 오래 활약해온 셸(Shell)은 홍수 탓에 많은 이재민이 집을 버리고 대피해야만 했고 며칠 동안 집에 돌아갈 수도 없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지난 2012년 미국 역사상 최악으로 평가받았던 허리케인 '샌디'가 뉴욕시를 덮쳤을 때의 일이다. 뉴욕 브루클린에서 에어비앤비 호스트로 오래 활약해온 셸(Shell)은 홍수 탓에 많은 이재민이 집을 버리고 대피해야만 했고 며칠 동안 집에 돌아갈 수도 없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그는 에어비앤비 리스팅(숙소)으로 내놓고 있는 공간을 공짜로 내놓기로 했다.

셸(왼쪽 세번째)이 미국 뉴욕의 에어비앤비 리스팅(숙소)에서 손님, 친구들과 대화를 나누고 있다.<

셸의 행동은 에어비앤비 커뮤니티에 알려졌고, 1442명의 호스트가 무료 숙소를 내놨다. 당시 피해지역 주변에는 2000개 이상의 리스팅이 있었다. 호스트 대부분이 셸의 선행에 동참한 셈이다.

그는 당시를 이렇게 설명했다.

"뉴욕에서는 잘 교류하지 않아서 고립된 듯한 느낌을 받기도 했어요. 그런데 허리케인 샌디 때 손님을 초대해보니 커뮤니티의 느낌이 제 집 안으로 들어온 느낌이었습니다."

평상시 느끼지 못했던 동네의 인간미를 재난 상황을 계기로 절실하게 체감했다는 설명이다.

에어비앤비는 대형 재난 상황에 공짜로 집을 내놓을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을 구축해 셸과 같은 이들을 도왔고, 2013년부터는 '오픈홈'이라는 이름의 재난 대응 시스템을 가동하고 있다. 허리케인뿐만 아니라 화재와 홍수, 지진 등 다른 재난에도 언제든 대응할 수 있도록 했다.

에어비앤비의 숙소 제공 프로그램 화면.

이 경험은 지금까지 사람들이 막연히 가지고 있던 인간 본성에 대한 고정관념을 깼다.

'사람은 근본적으로 따뜻한 마음이 있기는 할까?' '실제로 따뜻한 마음이 있다고 하더라도 이 삭막한 도시에서 서로 믿고 커뮤니티를 구현해낼 수 있을까?' 이런 질문들은 책상에 앉아 고민하는 많은 이들을 괴롭혀왔지만, 온·오프라인을 연결하는 플랫폼의 등장은 상상하지 못했던 놀라운 결과를 보여줬다.

러시아의 사상가 표트르 크로포트킨은 1902년 내놓은 저서 '상호부조론'에서 협동적인 동물 집단(인간)이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생존에 더 뛰어난 능력을 보인다고 소개하며, 공동체의 힘을 강조했다.

최정규 경북대 경제통상학부 교수는 '공유지의 비극을 해결하는 제3의 길'이란 신문 기고에서 이 책에 나온 문구를 다음과 같이 소개했다.

"공동체적 해법이야말로 인간 본성에 가장 걸맞은 사회 문제에 대한 해법이며 상호부조적 감정이야말로 수십만년에 걸친 집단생활을 통해 배양된 것이다. 상호부조의 감정은 거스를 수 없는 법이다."

네덜란드 태생의 동물행동학자이자 영장류학자인 프란스 드 발 역시 최근 낸 저서 '공감의 시대'에서 "(인간은) 자원을 공정하게 배분해 사회의 평화를 유지해 이익을 얻고, 이에 공감이 결합하며 결과적으로 평등성과 연대가 강조되는 작은 집단 사회를 향한 길을 걷게 되었다"고 주장했다.

다음과 같은 설명도 덧붙였다.

"개인과 집단적 이익의 균형을 잡는 방법을 알아내야 한다. 그것은 미국 시민들이 허리케인 '카트리나'의 희생자를 볼 때와 링컨이 족쇄를 찬 노예들과 마주했을 때처럼 우리를 다른 이들에게 연결하고, 이해하고, 그들의 상황을 우리 자신의 상황으로 만드는 능력이다. 이 타고난 능력을 불러내는 것은 어떤 사회에서도 이익이 될 수밖에 없다."

어린이들이 동성 부모의 행동을 따라하고, 하품이 전이되며, 행복한 표정을 보면 편안하고 화난 표정을 보면 불편해진다. 프란스가 '흉내의 기술' 등으로 소개한 내용인데, 바로 그 공감의 힘은 온라인 플랫폼이 만들어 준 네트워크를 통해 빠르게 확산될 수 있었다. 셸의 행동은 공감대를 가진 다른 이들에게 그대로 전이되었고, 빠르게 확산됐다.

허리케인 '하비'와 '어마' 등 올해 유독 피해를 많이 입고 있는 지금 미국은 에어비앤비 커뮤니티가 만들어내는 공동체의 힘을 경험하고 있으며, 멕시코의 지진과 폭풍, 일본을 덮친 태풍 '탈림', 영국 런던에서 벌어진 테러 등에서도 오픈홈 프로그램이 가동되고 있다.

마음을 쉽게 전달할 수 있는 플랫폼 기술의 존재는 깊이 있는 인간의 본성을 깨워 쉽게 구현할 수 있게 도와줬다. 플랫폼은 혹시라도 선행에 따라 집안 시설이 망가져도 보험으로 보장해주는 도움을 주기도 한다.

플랫폼 기술은 프란스가 밝혔듯 "자기에게는 크게 방해가 되지 않지만 상대방에게는 상당히 큰 도움을 주는, 이른바 '저비용 이타주의'"가 발현되는 상황을 만들어준 것이다. 테니스 선수가 패배로 낙망해 바닥에 주저앉은 상대에게 손을 내밀어 일어설 수 있도록 도와주는 행위와 같은 저비용 이타주의는 비용이 많지 않아 우리 사회에서 손쉽게 찾아볼 수 있다. 이처럼 삭막한 도시를 바꾸는 데는 작은 기술의 도움만으로도 충분하다.

우리는 온라인으로 연결된 커뮤니티가 언제든지 오프라인의 공동체로 전환될 수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셸과 같이 에어비앤비 호스팅의 경험은 공동체에 대한 편견을 깨뜨릴 수도 있다. 지난해 에어비앤비가 한국에서 진행한 설문조사에서 한 호스트는 이렇게 말했다.

"에어비앤비 호스트를 한 지 1년 정도밖에 되지 않았지만, 유럽과 아시아, 미주 각 지역에 친구가 생겼습니다. 사람이 가장 값진 경험이 아닐까 싶어요."

우리는 어쩌면 세상에 펼쳐진 문화적 장벽들을 조금씩 허물고 있는 중인지도 모른다. 보호무역이나 테러 등의 문제들은 서로 다른 문화 간의 이해도 차이에서 온다. 그런 맥락에서 보면 플랫폼 기술은 확실히 긍정적인 면이 있다.

저작권자 © 허프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연관 검색어 클릭하면 연관된 모든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라이프스타일 #허리케인 샌디 #재난 #숙소 제공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