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사물인터넷도 대기업의 몫인가

IoT 보안에 있어 사물 그리고 사용자를 인증하는 일은 가장 먼저 일어나고 또 가장 중요하다. 그리고 그 중요성은 앞으로 IoT 기술이 점차 발전해 사람:사물 연결을 넘어 사물:사물 연결로 향해 갈수록 더욱 커질 것이다.

 

우선, 오해가 있다. 어떤 사물을 인터넷에 연결하기만 하면 '사물인터넷' 된다는 오해.

웹 검색기에 IoT, 스타트업, 사물인터넷, 창업 등 검색어 넣어 보면 온갖 화려한 미사여구로 치장한 글이 엄청 뜬다. 사물인터넷으로 스타트업 육성, IoT 스타트업 이렇게 시작하라, 뜨거운 사물인터넷 창업 열기 등, 아주 뜨겁다. 정부도 마찬가지다. 사물인터넷이야말로 소자본 창업이 용이한 미래산업이므로 우리 모두 창조적으로 뭐 어쩌고저쩌고.. 그런데,

IoT는 정말 소자본 스타트업에 어울리는 사업일까?

결론부터 말하자면, 지금은 그렇지 않다. 그래선 안 된다.

 

 

IoT는 삼위일체

 

 

1)디바이스, 2)어플리케이션, 3)클라우드, 이 3가지 요소가 합해 IoT를 이룬다.

어플리케이션이란 말은 그냥 '인터넷'으로 바꿔 읽어도 무방하다. 요즘 어플리케이션은 거의 전부가 웹 어플리케이션이니까. 이름부터 '사물인터넷'이니 사물도 있고 인터넷도 있어야 하니 1)과 2)는 당연해 보인다. '사물'이 '인터넷'보다 먼저 나오고 실물이 눈에 딱 보이는 구체성까지 더해져 더 중요해 보이지만 실은 '인터넷'이 더 중요하다.

달리 말해, 드론 산업과 마찬가지다. 드론은 눈에 딱 보이는 물건이라서 '드론 산업' 그러면 누구나 드론이라는 사물만 떠올리지만, 그래서 "드론은 중국이 세계 최고!"라며 "한국은 이제 어쩌지,," 겁도 내고 그러는데, 드론 업의 본질은 날개 4장 달린 납작한 비행 물체를 가장 싸게 만드는 단순 산업공학적 경쟁이 아니라, 국가 규모의 3차원 좌표망 위 특정 위치에 추상적 데이터가 아닌 구체적 사물이 안정적으로 위치 그리고 이동하게끔 만드는 일과 그 관제, 그리고 안전이다. 물건 싸게 만들기만을 두고 경쟁하지 않아도 된다는 뜻이다.

그럼 1과 2)는 그렇다 치고, 3)클라우드는? 그 또한 필수 요소다. 사물로부터 수집한 정보를 클라우드를 통해 취합해 종합하고 분석함으로써 제품의 성능을 개선하고 사용자에게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게 없다면 사물인터넷이란 고작 어떤 물건에다 전화기를 통해서 켜고 끌 수 있는 원격 스위치를 붙이는 일에 불과할 테니까. 그 스위치마저도 안전이 필수적인 스위치라면 함부로 막 붙일 수도 없고.

 

 

IoT 보안도 삼위일체

 

 

1)디바이스, 2)어플리케이션, 3)클라우드가 IoT의 필수요소이므로,

1)디바이스 보안, 2)어플리케이션 보안, 3)클라우드 보안 또한 IoT 보안의 필수요소다.

문제는 그 3가지 보안이 서로 다른 성질의 기술을 요구하므로 기술 연구개발의 성격 또한 다른데, 대기업 규모라면 각각 따로 전담 팀을 운영해 별 문제 없겠지만 소규모 기업 형편으로는 감당하기 어려운 일이다. 모든 팀 다 짜려면 이미 작은 기업이 아니게 되니까. 그래서,

IoT는 정말 소자본 스타트업에 어울리는 사업일까?

지금은 그렇지 않다는 것이다. 그리 함부로 막 덤벼들 일이 아니다. 또 그래서도 안 된다. IoT는 기존 흔한 IT와 달리 사람과 직접 접촉하는 사물을 다루는 기술이기 때문에 안전 문제가 훨씬 더 치명적이다. 따라서 IoT는 "선보안-후연결" 원칙이 필수적이다. 정보만 오가는 IT 사고는 터져도 돈 좀 잃고 회사 상대로 법 두고 다투면 될 일이지만, 사물을 다루는 IoT 사고는 사람 목숨이 위험할 수도 있다. 낮잠 자다가 로봇 청소기에 머리카락이 빨려들어가 119 구조대가 출동한 일쯤은 웃으며 나누는 옛날 이야기처럼 차라리 귀여운 수준의 사고일 수도 있다.

1)디바이스 보안, 2)어플리케이션 보안, 3)클라우드 보안 등, IoT 보안의 삼위일체의 어느 한 요소도 절대 허술해선 안 된다. 그런데도 쉽게 "IoT는 소규모 창업!" 떠드는 어수선한 풍토가 정말 우려스럽다. 그 와중에 인터넷 카메라 등 아직은 고작 태동기 수준에 머물러 있는 IoT 사물들은 온갖 사고를 터뜨리고 있다. 정말 위험한 상황이다.

그렇다고, 포기해야 하나. IoT마저 대기업의 몫이란 말인가. 다행히 그렇진 않다.

 

 

IoT 개발은, IoT 플랫폼

 

 

IT 이야기에 흔히 등장하는 '플랫폼'이란 용어는 승강장이라는 원래 말뜻을 넘어서 시스템을 구성하는 골격의 뜻으로 여러 산업 분야에서 두루 쓰인다. 여러 사람이 쉽게 이용하는 공용 기반시설 정도의 뜻인데, 이를테면 공장의 생산 과정 전반에서부터 어떤 IT 어플리케이션이 동작하는 바탕이 되는 OS 등 환경까지 전반적으로 일컫는 말이다.

말하자면 산업공학적 합리의 흐름에 따라 정착된 용어인데, 대량생산을 위한 절차 그리고 절차의 자동화를 고민하는 과정을 통해 개념이 각각의 분야에서 점차 구체화되었다. 이에 따라 요즘은 윈도우, macOS, 안드로이드, iOS 등 운영체제나 인터넷 익스플로러, 크롬 등 브라우저까지 플랫폼이라 불리고 있고, 개발 편리를 위해 어떤 언어를 위한 환경을 제공해 주는 보조 어플리케이션도 개발 플랫폼이라 불린다.

IoT에도 그런 플랫폼이 있다. IoT가 오늘날 IT 업계의 가장 뜨거운 유행인 만큼 여러 회사들이 경쟁적으로 훌륭한 IoT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러한 플랫폼을 이용하면 작은 회사들도 필요한 모든 기술력을 자체적으로 보유하지 않고도 HTTP 등 프로토콜을 이용해 디바이스를 다른 디바이스 그리고 웹 서비스에 연결하고, 데이터를 주고받으며 상호작용하고, 수집한 데이터를 처리하고, 그 처리 결과에 기반한 서비스를 운영하는 등의 사물인터넷 사업을 훌륭히 운영할 수 있다.

그럼 작은 회사도 IoT 플랫폼 이용해 간편하게 개발하면 될 일 아닌가. 문제는,

 

 

IoT 보안은, IoT 보안 플랫폼

 

 

IoT 플랫폼이 제공하는 서비스 사양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보안 부분은 어째 좀 부실하다. 이는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의 보안 부실과도 비슷한 현상이다. 필요한 기능을 모두 다 제공해 주는 것 같지만 유독 보안 부분만은 부실한 것. 플랫폼 서비스 제공자마다 '공동책임모델' 등의 엄격하고 딱딱한 용어를 쓰며 슬쩍 피하려 든다는 느낌이다. 아마도 사고 발생 시 법적 책임 문제 등 여러 복잡한 사정의 이유가 따로 있겠지만 이유야 어쨌든,

상업용 IoT 플랫폼들이 제공하는 IoT 보안은 그 자체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특히 IoT 보안의 가장 기본이라 할 수 있는 인증서 운영 정책의 단순함에서부터 우려가 크다. IoT 사물에 있어 인증서는 여권과 같다. 사물은 인증서를 여권처럼 지닌 채 인터넷 세계를 여행한다. 그리고 그 여권을 검사하는 일은 인증기관(CA)이 맡는데, 그 체계가 전반적으로 부실한 것이다.

어느 정도의 복잡함은 불가피하다. 디바이스의 종류와 성질에 따라 적용하는 보안 방법론은 완전히 달라져야 한다. 이를테면 기능이 단순하고 제자리에 고정된 스마트 전등의 위험성과 아주 복잡하고 빠르게 달리는 스마트 자동차의 위험성은 하늘과 땅만큼 먼데 그 둘에다 같은 수준의 인증서를 사용할 수는 없잖은가.

IoT 보안에 있어 사물 그리고 사용자를 인증하는 일은 가장 먼저 일어나고 또 가장 중요하다. 그리고 그 중요성은 앞으로 IoT 기술이 점차 발전해 사람:사물 연결을 넘어 사물:사물 연결로 향해 갈수록 더욱 커질 것이다. 인터넷 사용 과정에 사람이 끼면 그 사람의 주의 집중을 강제해 사고를 예방하고 경고에 따르지 않았다는 이유로 문제의 상당한 책임이 사용자에게 있다고 우길 수도 있지만 '사물:사물' 연결은 책임을 떠넘길 사람도 없으니, 이는 IoT 사업자 입장에서는 전에 비해 훨씬 더 커진 사업적 리스크다. 그래서라도 더욱, 선보안-후연결.

잘 짜여진 IoT 보안 플랫폼이 절실하다. 특히 IoT가 적용되는 여러 환경에 대응하는 다양한 인증서를 관리하고 인증기관(CA) 역할도 맡아 처리하는 일을 기반으로 잘 짜여진 IoT 보안 플랫폼이. 기존 IoT 플랫폼이 그 일까지 해 준다면 참 편하겠다만, 앞서 짐작해 본 '어른의 사정' 때문에 아마도 요원한 일일 듯싶다. 세계는 이미 위험 신호를 계속 보내고 있는데 아무도 듣지 않는다. 큰 걱정이다.

 

--------------------

 

이 글은 IT&보안 잡지 'decodr'에도 올렸습니다.

 

 

저작권자 © 허프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연관 검색어 클릭하면 연관된 모든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뉴스 #경제테크 #IT·과학 #보안 #박지훈 #펜타시큐리티 #decodr #IoT #사물인터넷 #IoT플랫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