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무차별 총격 속 지프로 군사분계선까지... 긴박했던 귀순 순간

  • 박수진
  • 입력 2017.11.14 07:19
  • 수정 2017.11.14 07:22

*위: 북한군의 총격을 받고 긴급후송되는 병사의 모습

‘JSA 귀순 병사’

군, CCTV 판독결과 공개…차량, 배수로 걸리면서 남으로 도주

남쪽 50m 지점서 우리군 경계병들 낮은 포복으로 접근해 후송

군 당국자 “장기 손상 심해 지켜봐야…아직 의식 없어”

13일 판문점으로 귀순한 북한 병사는 애초 지프를 몰고 남쪽으로 넘어오려 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군 당국자는 14일 “우리 군 경계병들의 증언과 시시티브이(CCTV) 판독 결과, 어제 귀순한 북한군 병사는 애초 판문점 북한 지역 판문각 후방에서 차량을 남쪽으로 몰고 왔던 것으로 조사됐다”며 “차량은 북한군이 야전용으로 이용하는 지프였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 병사가 남쪽으로 몰고 오던 차량은 판문각 근처에 있는 배수로 턱에 걸려 멈춰섰다. 그러자 이 병사는 곧바로 운전석 문을 박차고 나와 그대로 남쪽으로 내달렸다. 동시에 주변 소초에서 북한군 여러 명이 튀어나와 뒤따르며 총격을 가하기 시작했다.

이와 관련해 판문점 공동관리구역(JSA)을 통제하는 유엔사도 이날 자료를 내어 “북한군 한 명이 군사분계선 인근까지 차량을 통해서 왔다. 이후 그는 차량에서 하차해 계속해서 군사분계선을 넘어 남쪽으로 도주했으며 도주하는 동안 그는 다른 북한 병사들로부터 총격을 지속적으로 받았다”고 확인했다.

군 당국자는 이날 북한군이 어떤 총으로 총격했는지에 대해 “유엔사 관할지역이어서 유엔사 군사정전위 조사를 좀 더 기다려봐야 한다”며 언급을 꺼렸다. 그러나 규정상 판문점 공동경비구역엔 권총 이외에 소총 등은 소지할 수 없다. 우리 쪽 경계병들도 권총만 소지한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군이 쏜 총의 종류도 권총이었을 개연성이 크다.

귀순 북한 병사가 군사분계선을 넘어 남쪽 지역으로 들어선 뒤에도 북한군들이 총격을 계속 가했는지는 아직 불분명하다. 군 당국자는 “우리 쪽 지역에 북한군이 쏜 총탄의 탄흔이 얼마나 있는지 등에 대해 추가 조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당시 군사분계선을 넘은 귀순 병사는 군사분계선 남쪽 50m 떨어진 곳에 피를 흘리며 쓰려졌고, 남쪽 경계병들은 북한군의 총격이 멈춘 뒤 이 병사에게 낮은 포복으로 접근해 우리 쪽 구역 ‘자유의 집’ 뒤편 안전한 지역으로 끌어왔다. 당시 이 귀순 병사는 의식이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군 당국자는 “후송될 때 의식이 있었던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이국종 아주대학교병원 경기남부권역외상센터 센터장이 14일 오전 경기도 수원시 아주대학교병원 경기남부권역외상센터 앞에서 판문점 공동경비구역(JSA) 지역으로 귀순하다 북한군의 총격으로 부상을 입고 헬기로 긴급 후송된 북한 병사의 상태를 취재진들에게 설명하고 있다. 이 교수는 추가 수술이 필요하며 현재 복부 개방 후 약물을 투여하고 있다고 밝혔다.]

현재 이 귀순 북한 병사는 아주대병원에서 중증외상치료 전문의인 이국종 교수에 의해 1차 수술을 받았으나 총상이 심해 상태를 낙관할 수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군 당국자는 “의료진에 따르면 ‘북한군의 무차별 사격으로 허파 등 장기 손상이 심하다. 수 발의 총격을 받았다. 아직 의식을 찾진 못하고 있고, 경과를 지켜봐야 한다’고 한다”고 말했다.

북한군이 군사분계선을 넘어서 남으로 내려오는 사례는 해마다 발생하지만, 판문점 공동경비구역을 통해 월남하는 경우는 흔치 않다. 1967년 3월 북한 <중앙통신> 부사장이던 이수근이 남북 군사정전위원회 취재 차 판문점에 왔다가 북한 경비병의 총격을 뚫고 남쪽으로 넘어온 적이 있다. 또 1998년 2월엔 북한군 변용관 상위가 판문점 공동경비구역으로 귀순했다. 국방부 관계자는 “2007년 9월에도 북한군 병사가 판문점을 넘어온 적이 있으나 언론에 공개되진 않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허프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연관 검색어 클릭하면 연관된 모든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북한 #귀순 #뉴스 #정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