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뱀과 거미 공포증은 인간 DNA에 들어있다

Reticulated python (Python reticulatus), front view, head detail. It looks its crawling towards the viewer.
Reticulated python (Python reticulatus), front view, head detail. It looks its crawling towards the viewer. ⓒRibeirodosSantos via Getty Images

뱀과 거미를 실제로 만져본 적이 없는데도 발 옆을 뱀이 미끄러져 지나가는 것, 거미가 팔에 기어오르는 것을 생각만 해도 오싹 소름이 끼친다면, 그건 유전자 때문일 수 있다.

최근 수십 년간 과학계에서는 이런 공포증이 천성적인 것인지, 어린 시절 학습하는 것인지를 두고 많은 논란이 일었다.

그러나 거미와 뱀의 위험을 배우기엔 너무 어린 6개월 된 아기들이 이런 동물을 보기만 해도 스트레스 징후를 보인다는 것을 밝힌 새 연구가 나와, 이런 공포증은 유전적임이 밝혀졌다.

영국에만도 1천만 명 이상이 공포증을 지닌 것으로 추정되며, YouGov 조사에 의하면 뱀 공포증(오피디오포비아)와 거미 공포증(아라크노포비아)는 늘 여러 공포증 중 수위를 차지한다.

스웨덴의 막스 플랑크 인간 인지와 뇌과학 연구소는 출생 후에 뱀이나 거미를 두려워하도록 학습해서 공포증이 생기는 게 아니라고 결론내렸다.

아기들에게 같은 크기와 색상의 거미와 뱀 이미지, 꽃과 물고기 등의 이미지를 보여주었다.

뱀이나 거미를 봤을 때는 다른 동물들을 볼 때에 비해 아기들의 동공이 눈에 띄게 확대되었다. 인간이 내적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전형적인 생리적 반응이다.

이번 연구를 주도한 스테파니 횔은 “일정한 빛 조건에서 동공이 이만큼 확대되는 것은 뇌에서 스트레스 반응을 담당하는 노르아드레날린 체계가 활성화되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신호다. 그러므로 아주 어린 아기들도 이런 동물들을 보면 스트레스를 받는 것 같다.”

태어난지 얼마 안 되었고 움직일 수도 없는 아기들이 거미와 뱀을 무서워해야 함을 학습했다고 주장하기란 힘들다.

연구자들은 이것은 진화 발달이며, 영장류와 마찬가지로 인간 뇌 기능은 위험할 수 있는 대상에 대한 반응을 아주 빨리 발달시킨다고 주장한다.

“유전된 것이 분명한 이러한 스트레스 반응은 인간 아기가 이런 동물들이 위험하거나 역겹다고 학습할 준비를 시켜준다. 여기에 추가 요인들이 결부되면 진짜 두려움, 공포증까지 발달할 수 있다.”

모든 인간이 타고난 이러한 본능적 두려움은 부모의 두려움 때문에 더욱 악화될 수 있고, 심하면 불안 장애로 발달된다.

코뿔소, 곰 등 인간에게 위험할 수 있는 동물들의 사진과 두려움을 결부시키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는 것 역시 흥미롭다고 이들은 지적한다.

이런 동물들이 인간의 공간에 공존하지 않았던 반면, 뱀과 거미는 4~6천만 년 이상 우리 조상들 옆에서 살아왔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칼, 주사, 전기 콘센트 등 현대의 위험 역시 마찬가지일 것으로 짐작된다. 진화적 관점에서 보면 그런 물건들은 존재한지 얼마 안 되었기 때문에, 출생 직후부터 뇌 안에 반응 메카니즘을 확립시킬 시간이 없었다.”

공포증의 발달에 대한 과거 연구들은 나이가 있는 어린이들이나 성인만 관찰하여, 언제 처음 이런 반응을 보이기 시작했는지 파악하기가 어려웠다.

또한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한 실험들에서는 거미나 뱀을 무해한 동물이나 물체보다 더 빨리 발견하는지만 살폈을 뿐, 직접적인 공포 반응을 보이는지는 조사하지 않았다.

허핑턴포스트US의 It's Not You, A Phobia Of Snakes And Spiders Is Actually Built Into Our DNA를 번역, 편집한 것입니다.

   

저작권자 © 허프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연관 검색어 클릭하면 연관된 모든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과학 #공포증 #포비아 #뱀 #거미 #동물 #공포 #dna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