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생리대 독성물질 실험'을 둘러싼 진실 공방이 이어지고 있다

ⓒ뉴스1

‘생리대 파동’이 복잡하게 흘러가고 있다.

생리대에 위해 성분이 있어 안전하지 않다는 주장이 쏟아지고 있는데, 여태까지 한 조사로는 유해성을 따질 수 없다는 지적이 나왔기 때문이다. 처음 생리대 성분을 실험한 김만구 강원대 환경융합학부 교수는 “위해성을 밝힐 기준을 마련하기 위한 실험”이라고 반박했다. 게다가 강원대에 연구를 의뢰한 여성환경연대는 연구비 출처가 정확하지 않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서울신문은 여성환경연대 의뢰로 생리대 독성물질 검출 실험을 했던 강원대 쪽이 “독성물질 농도 검사 결과값만 전달했을 뿐 생리대의 유해성 여부를 판단한 적은 없다”고 밝혔다고 보도했다.

“지난해 10월 여성환경연대의 생리대 독성물질 검출 실험 의뢰는 정식 연구 요청이 아니었다. 220만원의 수수료를 받고 성분 분석만 해 준 것”(강원대 산학협력단 관계자)

“여성환경연대가 ‘생리대의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농도를 측정해 달라’며 시료인 생리대 샘플을 택배로 보내왔다. 농도값은 상대적이기 때문에 특정 제품의 농도가 높게 나왔다고 해서 반드시 유해하다고 단정 지을 순 없다.”(강원대 연구진)

식약처와 대한의사협회는 아예 강원대의 실험 결과를 믿을 수 없다고 했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식약처가 외부 전문가들로 구성한 '생리대 안전 검증위원회'는 “상세한 시험방법 및 내용이 없고 연구자 간 상호 객관적 검증 과정을 거치지 않아 과학적으로 신뢰하기 어렵다"”는 의견을 밝혔다. 대한의사협회도 “내부 간담회를 거친 결과 VOCs로 인한 인체 유해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자료가 충분하지 않아 생리대의 유해성 여부를 단정하기 어렵다는 결론을 내렸다”고 밝혔다.

이 실험을 진행한 김만구 강원대 환경융합학부 교수의 생각은 좀 다르다. 그는 한국일보와의 인터뷰에서 “식약처가 맥락없이 과학적이지 않다고 공격한다”며 “생리대 위해성을 밝힐 기초자료가 부족한 상황이라 기준마련을 위해 활용하라고 시험을 한 거다”라고 말했다. 김 교수는 지난 3월 여성환경연대가 주최한 '여성건강을 위한 안전한 월경용품 토론회'에서 조사한 10종의 생리대 가운데 VOCs가 가장 많이 나온 제품 2개가 깨끗한나라의 '릴리안'이란 걸 알린 사람이다.

“여성환경연대가 소셜펀딩으로 모금한 220만원(20만원 부가세 포함)과 사비로 충당했다. 내 연구실에서 개발한 ISO 12219-5 국제표준 개발장비가 있기 때문에 실험이 가능했다. 나도 녹색미래 이사장 겸 공동대표로 환경운동을 하고 있고, 연대 차원에서 수락한 거다.”

“(유한킴벌리로부터 시험 의뢰 받거나 연구비 지원을 받은 것에 대해)지원도 관계도 없다.”

세계일보는 여성환경연대가 네이버 해피빈을 통해 소셜 펀딩으로 후원을 받아 실험비를 마련했다고 밝혔는데, 내역을 확인해보니 네이버 해피빈을 통해 진행한 소셜 프로젝트 7개 가운데 생리대 실험검출과 관련된 사업은 없었다”고 주장했다. 여성환경연대는 그동안 특정 기업의 후원을 받아 생리대 유해물질 검출실험비를 마련한 것 아니냐는 의혹을 받아 왔다. 지난해 생리대 관련 프로젝트는 3개가 있었지만 이 가운데 1개는 저소득층 여성에게 면생리대를 지원하는 사업(994만5900원)이었고 나머지 2개는 네팔 여성 지원 프로젝트(457만1800원)였다.

답답한 건, 아무도 소비자에게 명쾌한 답을 내려주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식약처의 '생리대 안전 검증위원회'는 현재 국내에서 유통하는 생리대를 대상으로 전수조사를 벌이고 있다. 현재까지 나온 실험 내용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이 기사를 참고하면 된다.

저작권자 © 허프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연관 검색어 클릭하면 연관된 모든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생리대 #릴리안 생리대 #여성환경연대 #여성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