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법원이 "기아차 정기상여금은 통상임금"이라고 판결했다

  • 허완
  • 입력 2017.08.31 07:56
ⓒ뉴스1

법원이 “기아자동차의 정기상여금은 통상임금”이라며 노동자들에게 4223억원을 지급하라고 판단했다.

서울중앙지법 민사41부(재판장 권혁중)는 31일 기아차 노동자 2만7424명이 회사를 상대로 2008년~2011년 주지 않은 연장·야간·휴일 근로수당 등을 달라며 낸 소송에서 원고 승소 판결했다. 재판부는 “기아차의 정기상여금과 중식대는 정기적·일률적 고정적으로 지급되는 임금으로서 통상임금”이라며 “피고(기아차)는 원고에게 상여금, 식대를 통상임금에 포함해 재산정한 연장근로수당 등을 지급할 의무가 있다”고 밝혔다.

다만 노동자들이 요구한 1조926억원(이자 4338억원이 포함) 중 4223억원(이자 1097억원 포함)만 지급하라고 밝혔다. 통상임금은 노동자가 소정근로시간(회사와 노동자가 일하기로 약속한 시간)에 통상적으로 제공하는 소정근로의 대가로 지급하기로 약정한 금품으로 정기적·일률적·고정적으로 지급되는 임금이다. 통상임금은 통상임금의 150%를 주도록 한 휴일·연장·야간 근로수당 등에 활용된다.

특히 재판부는 “노사 합의로 임금이 결정된 만큼 이제 와 통상임금을 달라는 것은 신의성실의 원칙(신의칙)을 위반한다”는 회사 쪽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았다. 재판부는 “원고들은 근로기준법에 의하여 인정되는 권리를 행사하는 것이고, 과거의 연장·야간·휴일근로로 생산한 부분의 이득은 이미 피고가 향유했다”고 지적했다.

31일 서울중앙지법 앞에서 기아차 노조 관계자들이 질문에 답하고 있다.

이어 “중대한 경영상의 어려움을 초래한다”는 기아차나 산업계의 주장에 대해서도 재판부는 “피고는 2008년부터 매년 상당한 당기순이익을 거두어 재정 및 경영상태와 매출실적 등이 나쁘지 않다”며 “원고들이 마땅히 받았어야 할 임금을 이제야 지급하는 것을 두고 비용이 추가적으로 지출된다는 점에만 주목해 경제에 중대한 위협이 된다고 관념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재판부는 밝혔다.

신의칙은 통상임금 소송에서 기업 쪽의 주요 반박 논리로 활용돼왔다. 통상임금의 150%를 주는 연장·야간·휴일 근로수당은 근로기준법에 정해져 있어 회사가 반드시 줘야 하는 임금이지만, 2013년 대법원 전원합의체(주심 이상훈 대법관)가 “사용자에게 예측하지 못한 새로운 재정적 부담을 지워 중대한 경영상의 어려움을 초래하거나 기업의 존립을 위태롭게 한다면 신의칙에 위배되어 받아들일 수 없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대법원이 인정한 ‘신의칙’ 때문에 통상임금 소송의 희비가 엇갈려왔다. 그러나 재판부는 “‘중대한 경영상의 어려움’이나 ‘기업 존립의 위태’는 모두 모호하고 불확정적인 내용으로서 추가 부담액이 어느정도가 되어야 그러한 요건을 충족한다는 것인지 알 수 없으므로 이를 인정함에 있어서는 엄격하게 해석·적용해야 한다”고 짚어 ‘신의칙 남용’에 제동을 걸었다.

저작권자 © 허프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연관 검색어 클릭하면 연관된 모든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경제 #통상임금 #노동 #기아자동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