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인공지능 시대, 쓸모 있는 교육은 뭘까

제가 중학생이던 1980년대에는 학원을 다니는 아이가 많지 않았어요. 그 시절에는 사교육이 별로 없었거든요. 그런데도 아버지는 저의 교육에 남다른 열정을 보이며 학원을 두 곳이나 다니게 하셨어요. "네가 나중에 어른이 되어 먹고 살려면 이 두 가지 기술은 반드시 배워야 해!" 중학생 시절에 배운 그 기술은, 훗날 제 인생에 아무 쓸모가 없었어요.

  • 김민식
  • 입력 2017.06.14 13:15
  • 수정 2017.06.14 13:18

[김 피디의 통째로 육아]

문화방송 피디이자 〈영어책 한 권 외워봤니?〉의 저자인 김민식 피디는 앞으로 로봇과 인공지능이 산업 전반에 걸쳐 폭넓게 쓰일 텐데, 지금 아이들이 학원에서 배우는 기술을 30년 후에도 써먹을 수 있을지 의문을 제기한다. 그래픽 김지야

제가 중학생이던 1980년대에는 학원을 다니는 아이가 많지 않았어요. 그 시절에는 사교육이 별로 없었거든요. 그런데도 아버지는 저의 교육에 남다른 열정을 보이며 학원을 두 곳이나 다니게 하셨어요. "네가 나중에 어른이 되어 먹고 살려면 이 두 가지 기술은 반드시 배워야 해!" 중학생 시절에 배운 그 기술은, 훗날 제 인생에 아무 쓸모가 없었어요. 그 기술들은 무엇일까요?

사람들이 첫 번째 답은 쉽게 맞힙니다. 바로 '주산'입니다. 저는 주산 학원을 다녔어요. "3에 8이요. 4에 7이요." 학원 선생님의 구령에 따라 열심히 주판알을 굴려 숫자를 더했지요. 교사로 일하시던 어머니가 시험 기간이면 채점을 마친 후, 학급 평균을 내기 위해 주판알을 튕기던 모습이 기억에 선합니다. "너도 나중에 취직하려면 주산을 반드시 배워야 한단다." 그렇게 배운 주산, 어른이 되어 써 본 적은 한 번도 없어요. 대학교에 들어가니 계산기를 쓰더군요. 비싼 돈을 주고 산 공학용 계산기는 외상술 마실 때 담보로 몇 번 썼고요, 그나마 졸업하고는 그마저도 쓸 일이 없었어요.

주산 학원은 쉽게 맞혀도 두 번째 학원은 못 맞히더군요. "웅변 학원?" "태권도 도장?" 여러 의견이 나오는데요, 아마 어린 시절에 제가 웅변을 배웠다면 연애에 큰 도움이 되었을 거예요. 설득력이 강해지니까요. 태권도를 배웠으면 고교 시절, 아이들이 감히 제 외모를 가지고 놀려대지도 못했겠지요.

저는 중학교 때 서예 학원의 펜글씨 반을 다녔습니다. 고등학교 선생님이던 아버지가 그러셨어요. "취직을 하려면, 주산. 승진을 하려면, 글씨." 선생님이 수업을 아무리 잘해도 강의 교안의 필체가 나쁘면 윗사람에게 인정받기 힘들다고 하셨어요. 그 시절에 시험지는 담당 교과 선생님이 손글씨로 직접 썼어요. 필체를 알아보기 힘들면 학생들의 원성을 샀지요. 일반 직장에서도 결재 서류나 기안을 손으로 썼기에 글씨 잘 쓰는 사람이 인정받는다고 하셨어요. 실제로 당시에 글씨를 잘 쓰면 군대에 가서도 행정병으로 차출되어 편하게 생활한다고 했지요.

중학교 시절, 애써 돈까지 들여 학원을 다녔지만, 훗날 어른이 되어 주산과 손글씨를 유용하게 써먹은 적은 없어요. 컴퓨터가 상용화되면서, 주산이 사라지고 문서 작성도 키보드로 하게 되었으니까요. 이제는 제가 초등학생, 고등학생 두 딸을 키우는 아버지가 되었습니다. 빼곡한 아이들의 학원 스케줄 표를 들여다보며 그런 생각을 합니다.

'앞으로 로봇과 인공지능이 산업 전반에 걸쳐 폭넓게 쓰일 텐데, 지금 아이들이 학원에서 배우는 기술을 30년 후에도 써먹을 수 있을까?'

인공지능의 시대, 아이들을 어떻게 키워야 할까요? 정답이 있는지는 모르겠어요. 답이 보이지 않는다고 포기할 수는 없지요. 소중한 우리 아이들의 미래가 걸린 일이니까요. 인공지능의 시대, 교육을 어떻게 할 것인가? 저의 고민을, 함께 해주시겠습니까?

* 이 글은 한겨레에 게재된 글입니다.

저작권자 © 허프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연관 검색어 클릭하면 연관된 모든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김민식 #주산 #인공지능 #학원 #교육 #사회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