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남아공에서 '코뿔소 뿔 농장'이 합법화됐다. 윤리 논란에 다시 불이 붙었다.

2011년 9월 크루거국립공원에서 밀렵꾼들에게 뿔이 잘려 폐사한 코뿔소를 검사하고 있다.

세계 최대 코뿔소 뿔 공급지 중 하나인 남아프리카공화국(남아공)에서 코뿔소 뿔 거래가 다시 합법화되었다고 내셔널지오그래픽 등 주요 매체가 6일 보도했다.

남아공에는 코뿔소를 사육·번식시킨 뒤 뿔을 잘라 파는 ‘코뿔소 농장’이 존재해왔다. 남아공을 방문한 외국인 관광객들은 이 농장에 들러 뿔을 사 갔으나, 멸종위기 야생동물의 부산품 거래를 금지하는 국제협약(CITES)과 동물보호 여론 등과 부딪혀 왔다.

남아공 정부는 코뿔소 뿔의 상업적 거래를 전면 금지하는 법률을 2009년 시행했으나, 한 코뿔소 농장주가 소송을 제기해 이번에 최종심에서 승소한 것이다. 코뿔소 1천 마리 이상을 기르는 이 나라 최대 코뿔소 농장주인 존 흄은 2009년 정부 조처가 부당하다는 소송을 냈고, 수년 동안의 법정 다툼 끝에 헌법재판소는 농장주의 손을 들어줬다.

이번 판결로 남아공에서 코뿔소 농장은 다시 영업을 재개할 수 있게 됐다. 남아공 정부도 허가를 받은 자만 뿔 거래를 할 수 있게 하고, 외국인의 경우 ‘개인적 목적'으로 최대 2개를 반출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으로 법률 개정을 추진 중이다.

코뿔소 농장에서 뿔을 잘라내기 위해 코뿔소의 눈을 가리고 계측하는 장면.

뿔 채취용 코뿔소 농장이 바람직한지는 그동안 논쟁이 있어왔다. 경제적 이득 외에도 멸종위기종의 밀렵 예방을 위해 필요하다는 주장이 있었기 때문이다.

일부 환경론자들조차도 이런 측면에서 코뿔소 농장의 합법화에 찬성한다. 이를테면, 듀언 빅스 호주 퀸즈랜드대 교수는 영국 일간지 가디언 2013년 4월 인터뷰에서 “뿔 거래 금지는 불필요한 야생 코뿔소의 죽음을 부른다. 야생 코뿔소 보전 노력과는 다른 것”이라고 말한다. 존 흄을 지지하는 미국 시민단체는 ‘코뿔소를 위한 싸움’은 “지옥으로 가는 길은 선의로 포장되어 있다”며, 코뿔소 농장이 현실적인 대안이라고 주장한다.

반면 동물의 고통 증가와 자본주의 하의 동물 몸의 상업화라는 측면에서 비판적인 주장도 제기된다. 이 진영에는 동물보호단체 등 동물복지(권리)론자들이 서 있다. 주류 환경단체도 사육 코뿔소 뿔 거래를 허용하면, 야생 밀거래가 기승을 부릴 것이라고 우려하고 있다. 일단 뿔이 시장에서 거래되는 이상 출처를 확인하기 어렵고, 시장 규모를 확대함으로써 돌이킬 수 없는 결과를 불러올 것이기 때문이다.

전 세계 2만9500마리 코뿔소의 70%가 남아공에 서식하는 것으로 추산된다. 지난해 남아공에서는 1054마리의 코뿔소가 밀렵 됐다고 내셔널지오그래픽은 보도했다. 2015년보다는 조금 준 수치지만, 2007년 통계 13마리보다 급증한 수치라고 이 매체는 덧붙였다. 코뿔소 뿔이 다시 각광받게 된 이유는 중국과 베트남에서 한약재 수요가 늘어난 이유도 있다. 코뿔소 뿔은 인간의 손톱과 같은 ‘케라틴'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중국은 아예 최근 코뿔소를 수입해 농장을 설립하는 등 대량생산 체제를 준비하고 있다.

관련 기사: National Geographic Breaking: Rhino Horn Trade to Return in South Africa

저작권자 © 허프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