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돌고래 왔다 하면 줄초상...‘죽음의 수족관' 이유 있었다

국내 돌고래 수족관에 대해 전수조사를 한 결과, 돌고래들이 열악한 환경에서 사는 것으로 나타났다. 돌고래 동물복지 실태 조사는 1984년 서울대공원에서 첫 돌고래쇼가 시작된 이래 이번이 처음이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이정미 의원(정의당)는 29일 “국내 고래류 사육시설 8곳이 부실하게 관리되고 있고 정부가 이를 수십년간 방치했다”고 밝혔다. 이정미 의원과 환경부, 해양수산부, 동물자유연대, 케어, 핫핑크돌핀스 등 동물·환경단체로 구성된 민관 공동조사단은 지난달 22일부터 이달 3일까지 서울대공원, 울산 고래생태체험관 등 국내 돌고래 수족관 8곳의 시설과 40마리 돌고래의 건강 관리 실태를 점검했다.

먼저 수족관 수조 시설이 전반적으로 좁았다. 수조 총 면적은 법적 기준(마리당 수면적 84㎡, 깊이 3.5m 이상)을 만족했지만, 여러 개로 쪼개진 개별 수조 면적은 이를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고 보고서는 밝혔다. 울산 고래생태체험관의 ‘10번 돌고래’를 격리 중인 수조는 38㎡였고, 퍼시픽랜드와 한화 아쿠아플라넷 보조 수조는 각각 16㎡, 30㎡에 불과했다. 이는 현행법이 최소 수조 면적이 아닌, 총 사육면적을 기준으로 마리당 면적만 규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북극의 얼음 바다에서 사는 흰고래(벨루가)를 사육하는 거제씨월드는 물 냉각시설조차 갖추지 않고 있었다. 이에 따라 흰고래는 여름철 수온 20도 이상의 물을 공급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돌고래가 계속에서 벽에 부딪히거나 한 자리에서 반복적으로 뛰어오르는 정형행동도 발견됐다. 정형행동은 동물원 등에 감금된 동물이 스트레스를 받아 반복적인 행동을 벌이는 것이다. 거제씨월드는 2015년부터 지난 2월까지 2년 동안 6마리가 숨진 곳이다.

수의사가 상주하는 수족관도 8곳 중 5곳에 불과했다. 울산 고래생태체험관과 제주 마린파크, 퍼시픽랜드 등 3곳은 촉탁 수의사를 쓰거나 수족관 운영자가 직접 건강을 관리했다. 적조 발생, 해수 염도 변화 등에 대한 위기 대응 매뉴얼을 갖추지 않은 곳도 세 곳이었으며, 일부 수족관은 서류를 제출하지 않았다. 일본 다이지에서 큰돌고래를 수입했다가 폐사시켜 이번 조사의 배경이 된 울산 고래생태체험관은 사육사 관리 매뉴얼조차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들은 “환경부와 해양수산부는 야생생물보호법에 따라 해양 멸종위기종 사육시설을 관리하고 조사할 수 있는데도 관련 규정이 명확지 않다는 이유로 수족관 관리를 사실상 방치해왔다”고 밝혔다. 이번 조사는 수족관의 자료 제출 거부, 사육 및 관리 일지 작성 부실 등으로 정밀하게 진행되지 않아, 앞으로 정기적인 점검과 조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허프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연관 검색어 클릭하면 연관된 모든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수족관 #돌고래 #동물 #사회 #아쿠아리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