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가짜 뉴스가 진짜 뉴스보다 페이스북에서 '좋아요', '공유', '댓글'이 더 많다

  • 박수진
  • 입력 2017.03.17 13:38
  • 수정 2017.03.17 13:41

가짜 뉴스로 전 세계가 어지럽다. 미국 대선 과정에서 가짜 뉴스가 대선 결과에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들이 이어지면서 선거철을 앞둔 유럽국가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에서도 비슷한 형태의 가짜 뉴스 문제가 생겨 심각성이 커지고 있다.

가짜 뉴스에 언급되는 인물은 정치인과 연예인 그리고 정치적 사건과 관련 있는 인물, 기업인, 언론인 등으로 분석된다. 2014년부터 현재까지 가짜 뉴스와 관련한 직업별 인물 비중은 정치인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그다음으로 연예인이나 기업가가 뒤를 따른다.

2014~2017년 가짜 뉴스 대상 인물 언급량 추이(*출처: 최재원 다음소프트 이사·빅데이터 전문)

2014년

1위. 현아 (52)

2위. 장현승 (49)

3위. 박근혜 (42)

4위. 김정은 (40)

5위. 남희석 (29)

2015년

1위. 아놀드 슈워제네거 (58)

2위. 리키 마틴 (20)

3위. 안철수 (18)

4위. 빌 게이츠 , 테리 존스 (5)

2016년

1위. 도널드 트럼프 (2584)

2위. 힐러리 클린턴 (880)

3위. 박근혜 (72)

4위. 버락 오바마 (55)

5위. 최순실 (47)

2017년

1위. 박근혜 (6358)

2위. 문재인 (5778)

3위. 도널드 트럼프 (5563)

4위. 반기문 (3611)

5위. 손석희 (2621)

가짜 뉴스 대상 인물 정치인 가장 많아

아무래도 정치와 관련된 이슈에서 가짜 뉴스의 발생 빈도가 가장 높음이 확인된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조기 대선과 탄핵 관련 정치적 이슈가 많이 생기면서 가짜 뉴스에 대한 관심이 크게 늘었다. 헌법재판소의 탄핵 인용 결정 전 3일 동안 가짜 뉴스에 대한 언급은 1111회로, 결정 후 3일간의 언급 590회의 두 배에 이를 정도다. 정치적 이슈와 가짜 뉴스의 연관성 때문에 올해 가짜 뉴스와 관련해서는 ‘백색테러’라는 단어가 연관되어 나타나기도 했다. 백색테러란 권력자나 지배 계급이 반정부 세력이나 혁명 운동가들을 암살, 파괴하는 정치적 테러를 뜻하는 것으로, 온라인상의 가짜 뉴스는 테러와 같은 파급력을 갖고 있음을 보여준다.

가짜 뉴스의 최대 유통 경로 페이스북

전 세계적으로 가짜 뉴스 논란으로 이미지에 가장 큰 타격을 입게 된 기업은 페이스북이다. 가짜 뉴스는 인터넷을 통해 빠르게 확산되는 것이 특징이다. 뉴스 콘텐츠는 그 내용보다도 플랫폼 지배력에 따라 확산 정도가 결정돼, 플랫폼 지배력이 큰 매체가 가짜 뉴스에 쉽게 노출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카카오톡’을 중심으로 한 메신저 앱과 페이스북이 가짜 뉴스의 유통 경로가 되고 있다.

이 중에서도 카카오톡 ‘단체방’에 대한 언급량이 많은데, 이는 개인 채팅방보다 ‘단체방’의 파급력이 더 크다는 것을 보여준다. 미국 대선 전 3개월 동안 페이스북 검색 상위 20위권 뉴스 중 ‘좋아요+공유+댓글 수’가 진짜 뉴스는 약 736만 건인데, 가짜 뉴스는 약 871만 건으로 가짜 뉴스가 더 많다. 걸러지지 않은 페이스북상의 가짜 뉴스가 개인의 결정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이 확인된다.

한국언론진흥재단의 ‘2016 언론수용자 의식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19세 이상 성인의 매체별 뉴스 이용률을 보았을 때, 텔레비전이나 신문 같은 전통적 매체를 통한 뉴스 수용 의존도는 낮아지고 인터넷 의존도가 높아지고 있어, 가짜 뉴스를 볼 기회가 많아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페이스북은 많은 비난을 받은 뒤 가짜 뉴스 생산자들을 그들의 광고 네트워크에서 배제하겠다고 했으며, 사내의 팩트체킹 팀을 구성하는 대신 제3의 팩트체킹 사이트들과 협력해 가짜 뉴스를 확인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구글 역시 광고 플랫폼을 이용해 가짜 뉴스를 걸러내겠다고 발표했으며, 트위터에서는 사용자 단위로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이렇게 전 세계가 가짜 뉴스 대책 마련에 적극 나서고 있다.

가짜에 익숙한 세상

최근 확장되고 있는 가상 아이템들과 함께 생각해보면, 결국 가상의 어떤 것들은 현실에서 채워지지 않는 욕구들을 채우기 위해 있는 듯하다. 거짓과 진실을 구분하기 힘든 사회관계망서비스(SNS)상에서 거짓으로 포장해 잠깐 사람들의 부러움을 사고 상대적 박탈감을 갖게 만든다. 진실에 대한 욕구는 가짜 뉴스로, 돈 안 드는 즐거운 인간관계에 대한 욕구는 가상 연애로, 현실에 없는 짜릿함에 대한 욕구는 가상현실로, 비싸서 즐기지 못하는 맛있는 음식과 여행 등에 대한 욕구는 그럴듯한 캠핑 테마 음식점이나 ‘먹방’으로 채우는 ‘가짜 소비자’(페이크슈머)의 등장 이유를 우리는 모두 현실의 부족함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저작권자 © 허프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