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괄호 안에 들어갈 시어(詩語)를 맞혀보자

시어(詩語)는 아름답고 간결하다. 그런 시어가 어떤 과정을 거쳐 골라질까? 시인 박시현은 “나 아닌 모든 것들에게서 말을 빌려 씁니다”라고 말했다. 이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것들이 시어가 되는 셈이다. 다르게 이야기하면, 이 세상 모든 것들은 ‘사실은’ 아름답고 간결한 존재들이다. 아래의 시에서 ( )안에 들어갈 이 세상에 존재하는 ‘무엇’은 무엇일까? 부담 없이 스스로의 답을 떠올려 보자.

1. 제법 쌀쌀한 시월인데 아직 ( )가 살아있다

“제법 쌀쌀한 시월인데

아직 ( )가 살아있다

살아있다기보다는 살아남아 있다

벽지 곳곳에 말라붙어 있는

과거의 생(生)들이 일러줬기에

가을 ( )는 벽에 붙지 않는다

본능은 주려있고

주림은 영리함을 만든다

틈으로, 더 틈인 틈으로 가닿으면

뱃속의 피를 조금씩 게워 삼키며

겨울을 날 것이다”

(책 ‘’, 박시현 저)

( )는 모기다. 가을에 살아남은 모기를 바라보며 쓴 시다. 이들은 배고프고, 그로 인해 영리해졌다. 시인은 모기의 생존법을 짐작해 본다. 어쩌면 우리도 배고파야 더욱 영리해질지 모르겠다.

2. 노인들이 공터에 모여 ( )을 던진다

“노인들이 공터에 모여

( )을 던진다

걸로 잡고 개로 업어가면

그날 자장면 값인데

뜻하지 않은 낙(落)에

남은 삶도 이런 건가 싶다

소리 한 번 꽥 지르고

뒤집어엎으면 그만이지만

근력이 예전 같지 않다

운명을 점치는 일이기에

( )을 던질 때마다

지구가 잠깐씩 흔들린다”

(책 ‘’, 박시현 저)

( )는 윷이다. 윷에 목숨 거는 노인들. 그런데 이유가 있다. 자장면 값이 걸려있고, 거기에 삶이 걸려있기 때문이다. 운명을 걸고 하는 일이라 쉽지 않다. 어느 정도일까? 무려 지구가 흔들릴 정도다. 다행히 잠깐씩만 그렇다. 그래서 우리가 못 느끼고 넘어간다.

3. 책 읽다 엎드려 잠든 오후 왼쪽 손목에 찬 ( )가 오른 팔뚝에 찍혀 자국이 생겼다

“책 읽다 엎드려 잠든 오후

왼쪽 손목에 찬 ( )가

오른 팔뚝에 찍혀 자국이 생겼다

꾸중하듯 단호하게 눌린 그 살을

다시 밀어내기까지는

아주 잠깐이었지만

너도 한동안 그렇게 찍혀 있었다”

(책 ‘’, 박시현 저)

( )는 시계다. 시계는 시간을 상징한다. 누군가와 함께 했다는 것은 시간을 함께 보냄을 의미한다. 팔뚝에 찍힌 시계 자국, 처음에는 신경 쓰인다. 언제 없어질까 싶다. 몇 번을 들여다 봐도 그대로다. 하지만 결국 없어진다. 다시 들여다보지 않을 때가 더 많다. 너라는 사람 역시 그렇다.

4. 얼기 전 저 길은 물이었다 / 한데 모여 ( )이었다

“얼기 전 저 길은 물이었다.

한데 모여 ( )이었다

건너지 못했던 것들

지금 건너라고

길을 막아서던 것이

갑자기 길이 되었다

때가 되면

길은 다시 길을 지우고

흐르듯 흐를 것이다”

(책 ‘’, 박시현 저)

( )는 강이다. 겨울에는 강이 꽁꽁 언다. 그리고 그 위를 걸어갈 수 있다. 새로운 길이 생겨난 것이다. 애초 흘러가던 강은 길을 막아서는 존재였다. 세상사가 이럴 것이다. 길인가 싶다가 환경이 변하면 길이 아니고, 길이 아닌가 싶다가 다시 보면 길이 되기도 한다. 그래서 속단하면 안 된다. 삶은 생각보다 다채롭고 생각보다 위험하며 생각보다 흥미롭다.

저작권자 © 허프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연관 검색어 클릭하면 연관된 모든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허프북스 #시 #시인 #시어 #틈 #사소한 운명 #너라는 시간 #겨울강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