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삼성이 '갤노트7'의 발화원인을 '배터리 결함'이라고 발표했다

  • 원성윤
  • 입력 2017.01.23 05:29
  • 수정 2017.01.23 06:02
A man speaks over his phone in front of a signboard of the Samsung Galaxy Note7 at a Samsung showroom in Seoul on September 2, 2016.Samsung will suspend sales of its latest high-end smartphone Galaxy Note 7 after reports of exploding batteries, its mobile chief said on September 2.  / AFP / JUNG YEON-JE        (Photo credit should read JUNG YEON-JE/AFP/Getty Images)
A man speaks over his phone in front of a signboard of the Samsung Galaxy Note7 at a Samsung showroom in Seoul on September 2, 2016.Samsung will suspend sales of its latest high-end smartphone Galaxy Note 7 after reports of exploding batteries, its mobile chief said on September 2. / AFP / JUNG YEON-JE (Photo credit should read JUNG YEON-JE/AFP/Getty Images) ⓒJUNG YEON-JE via Getty Images

삼성전자는 갤럭시노트7 발화 사고의 원인이 배터리 자체 결함으로 조사됐으며, 배터리를 제대로 검증하지 못한 책임을 통감한다고 23일 밝혔다.

고동진 삼성전자 무선사업부장(사장)은 이날 오전 10시 서울 서초구 삼성전자 서초사옥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제품 20만대, 배터리 3만개로 대규모 충·방전 시험을 해 소손(燒巽·불에 타서 부서짐) 현상을 재현했다"며 "갤럭시노트7에 채용된 두 종류의 배터리에서 각기 다른 원인으로 소손 현상이 일어나는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삼성전자는 갤럭시노트7에 삼성SDI[006400]와 중국 ATL 배터리를 사용했으나 이날 기자회견에서 특정 협력업체 실명을 공개하지는 않았다.

고 사장은 "지난 수개월 간 철저한 원인 규명을 위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등 제품뿐만 아니라 각각의 검증 단계와 제조, 물류, 보관 등 전 공정에서 원점부터 총체적이고 깊이 있는 조사를 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시장에서 발생한 소손 현상을 실험실에서 재현하고 정확한 원인을 규명하기 위해 대규모 충·방전 시설까지 마련했다"고 부연했다.

삼성전자는 외국 전문기관들도 배터리 자체 결함을 갤럭시노트7의 발화원인으로 지목했다고 밝혔다.

미국 안전인증 회사인 UL은 삼성SDI 배터리가 우측 상단 모서리의 눌림 현상, 얇은 분리막 때문에 발화한 것으로 분석했다. ATL 배터리는 배터리 융착 부위(이음새)의 비정상적 돌기, 절연 테이프 미부착, 얇은 분리막 등의 조합이 내부에서 단락 현상을 일으킨 것으로 봤다.

미국의 다른 안전인증 회사 엑스포넌트(Exponent)의 조사 결과도 UL과 비슷했다.

엑스포넌트는 삼성SDI 배터리가 음극탭 부위 젤리롤(양극재, 음극재, 분리막을 돌돌 만 것) 코너의 눌림 현상 때문에, ATL 배터리가 비정상적으로 높은 융착 돌기, 그로 인한 절연 테이프와 분리막 파손 때문에 각각 발화한 것으로 분석했다.

UL과 엑스포넌트는 갤럭시노트7 기기 본체에서는 발화와 연관된 문제를 발견하지 못했다.

삼성전자는 갤럭시노트7 단종 같은 치명적 실수를 되풀이하지 않기 위해 스마트폰 안전성을 크게 높이기 위한 대책을 마련했다고 강조했다.

고동진 사장은 "그동안 고객, 통신 사업자, 유통 거래선, 협력사 여러분께 불편과 심려를 끼쳐 진심으로 사과드린다"며 "신뢰를 다시 얻기 위해 (스마트폰의) 개발, 제조, 검증 등 모든 프로세스에 대한 종합적인 재발 방지 대책을 수립했다"고 밝혔다.

삼성전자는 우선 8가지 배터리 검사 프로세스를 도입했다.

안전·내구성 검사, 외관 검사, X레이 검사, 해체 검사, 누액 감지(TVOC) 검사, 상온의 전압 변화(ΔOCV) 측정 검사, 충·방전 검사, 제품 출고 전 소비자의 사용 환경을 가정한 가속 시험 등이다.

제품 기획 단계부터 안전을 최우선 원칙으로 해 다중 안전장치를 적용하겠다고 삼성전자는 강조했다.

삼성전자는 스마트폰 내부에 배터리를 끼우는 공간을 여유 있게 확보하고, 배터리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치를 추가로 적용하는 동시에 배터리 안전 설계 기준을 높였다.

또 충전 온도와 속도, 전류량 등을 조절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기능을 강화했다.

이밖에 핵심 부품의 설계, 검증, 공정 관리를 전담하는 '부품 전문팀'을 구성하고 외부 전문가 영입을 확대했다. 제품 안전성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자문단도 꾸렸다.

클레어 그레이(Clare Grey) 영국 케임브리지대 교수, 거브랜드 시더(Gerbrand Ceder) 미국 UC버클리대 교수, 이 추이(Yi Cui) 미국 스탠퍼드대 교수, 아마즈 테크컨설팅 최고경영자(CEO)인 토루 아마즈쓰미(Toru Amazutsumi) 박사 등이 자문위원으로 위촉됐다.

저작권자 © 허프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연관 검색어 클릭하면 연관된 모든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갤럭시노트7 #경제 #삼성전자 #이재용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