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한국에 사는 태씨 중에는 '태국 태씨'도 있다

  • 박수진
  • 입력 2017.01.06 09:13
  • 수정 2017.01.06 09:16
Thailand, Bangkok, smiling statue in Grand Palace
Thailand, Bangkok, smiling statue in Grand Palace ⓒWIN-Initiative via Getty Images

귀화하는 외국인이 늘면서 이전에는 없었던 '새로운 가문'이 해마다 늘고 있다.

6일 대법원에 따르면 창성창본을 허가받은 귀화인은 2011년 7천770명, 2012년 7천623명, 2013년 7천612명, 2014년 7천655명, 2015년 6천272명에 이른다.

지난해에도 통계가 등록된 11월 말까지 5천991명이 창성창본을 마쳤다. 해마다 6천∼7천개 이상의 '새 가문'이 탄생한 셈이다. 이런 현상은 당연히 결혼 이주여성 등 귀화를 통해 대한민국 국적을 취득한 외국인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내국인과 달리 외국 출신 귀화인은 성과 본을 비교적 쉽게 만들 수 있다는 점도 창성창본 증가하는 이유 중 하나다. 내국인은 가족관계등록부가 없는 경우에만 창성창본이 가능하다. 반면 귀화인은 귀화 후 가족관계등록부를 만들 때 자신이 원하는 성과 본을 적어 넣기만 하면 특별히 결격 사유가 없는 한 새로운 성씨의 '시조'가 될 수 있다.

필리핀에서 한국으로 시집온 로즈씨는 지난해 '남장미'라는 새 이름을 얻었다. 남쪽에서 왔다고 해서 '남'이라는 성씨에 영단어 '로즈(rose)'의 한국말인 '장미'를 붙였다. 법원으로부터 창성창본(創姓創本·성과 본을 새로 짓는 것) 허가까지 마쳐 지금 사는 곳의 지명을 딴 '청주 남씨'의 엄연한 시조(始祖)가 됐다. 그는 "얼굴 생김새나 피부색은 조금 달라도 한국 국적에 엄연한 한국 이름까지 생기니 진짜 '한국 사람'이 됐다는 뿌듯함이 느껴진다"고 말했다.

위 남장미 씨의 '청주 남씨'처럼 기존 지명과 성을 이용하는 경우도 있고, 출신국의 이름이나 지명을 써 '태국 태씨'·'몽골 김씨'·'산동 우씨'·'대마도 윤씨' 등의 새로운 가문이 생겨난 경우도 있다.

중국인의 경우는 원래 성씨를 그대로 쓰면서 본관은 현재의 거주지명을, 이름은 한자를 한국식 발음으로만 고쳐 쓰는 사례가 일반적이다.

귀화 외국인이 등록한 한자 없는 성으로는 '레'·'팜'·'쩐'·'에'·'짱' 등이 있는데, 본래 이름에서 한 글자를 따온 경우다. 물론 '김'·'이'·'박'·'최' 등 우리나라의 주요 성씨에 대한 선호도가 높게 나타나고, 본국의 성 대신 배우자의 성을 따라가는 경우도 많다.

청주시 다문화가족지원센터 관계자는 "새로운 이름에 자신의 정체성을 남기려는 귀화 외국인도 있지만 대부분은 평소 이름 부르기가 불편하거나 주위 시선 때문에 개명을 선택한 거라 가능하면 튀지 않고 부르기 쉬운 이름을 고르는 경향이 두드러진다"고 전했다.

'2015 인구주택총조사' 결과를 보면 한국인 전체 성씨는 2000년 728개에서 2015년 5천582개로 15년 전인 2000년에 비해 7.7배가 늘었다. 음(音)이 같은 성씨를 하나로 묶어 산정한 숫자이기 때문에 본관까지 나누면 훨씬 늘어난다.

저작권자 © 허프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연관 검색어 클릭하면 연관된 모든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사회 #다문화 #창성창본 #본관 #태국 태씨 #이민 #이민자 #귀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