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섭씨 2도 그리고 1.5도

조간만 파리협정이 국제법적 효력을 가질 수 있게 되었다. 협정은 지구촌 전체 온실가스 배출의 55%이상 배출하는 55개국 이상의 국가가 비준해야 발효되는데, 지난 10월 초 이를 넘어섰다. 또한 그로부터 1개월 후 발효된다는 규정에 따라 11월 초 발효한다. 현재까지 가난한 도서 국가들과 저개발국들 그리고 온실가스를 과다 배출하는 중국과 미국, 인도 그리고 EU 국가들 75개국이 비준했다.

  • 임낙평
  • 입력 2016.10.20 13:10
  • 수정 2017.10.21 14:12
ⓒSamsul Said / Reuters

'2℃ 그리고 1.5℃'. 지난해 12월 파리 유엔기후협약 총회(COP21)가 만장일치로 채택한 '파리협정'에 수록돼 있는 온도 수치이다. 정확히는 '금세기 말까지 지구평균온도의 상승을 산업화 이전 대비 2℃보다 훨씬 아래로 제한하고, 1.5℃까지 제한하기 위해 노력 한다'는 내용이다. 그래야만 우리 인류는 치명적인 지구온난화를 피할 수 있고, 폭염이나 해수면 상승, 극심한 가뭄과 홍수 등 기후변화를 극복할 수 있다. 이것이 파리협약의 핵심적인 내용이다.

파리협정 채택 직전까지 국가들 간의 협상은 치열했다. 세기말까지 얼마만큼 기온의 상승폭을 제한하느냐가 쟁점이었다. '2℃'를 넘지 말자는 주장은 그동안 합의된 내용이었다.

그러나 2℃로는 불안하고 불충분하다는 주장이 강하게 대두되었다. 주로 가난한 나라들이 지구온난화의 전개에 따라 해수면 상승이나 태풍과 홍수, 가뭄으로 더 많은 피해를 입을 수밖에 없다고 역설했다. 그래서 등장한 내용이 2℃ 보다 '훨씬 아래(well below)'라는 수식어이다. 그럼에도 다시 논란은 지속되었다. '훨씬 아래'라는 표현은 말로는 좋은 표현이지만 지극히 추상적인 단어이다. 그래서 막판 협정문에 '1.5℃'가 삽입되고 합의되었다.

조간만 파리협정이 국제법적 효력을 가질 수 있게 되었다. 협정은 지구촌 전체 온실가스 배출의 55%이상 배출하는 55개국 이상의 국가가 비준해야 발효되는데, 지난 10월 초 이를 넘어섰다. 또한 그로부터 1개월 후 발효된다는 규정에 따라 11월 초 발효한다. 현재까지 가난한 도서 국가들과 저개발국들 그리고 온실가스를 과다 배출하는 중국과 미국, 인도 그리고 EU 국가들 75개국이 비준했다. 협정체결 이후 이렇게 신속하게 비준절차를 거쳐 효력을 발생한 유엔의 국제협약이 거의 없다고 한다. 그 만큼 파리협정과 기후위기를 극복하자는 국제적 결의가 강하다.

파리협정에 수록된 지구평균기온 상승억제나 온실가스 감축 등은 철저히 기후과학에 기초한다. 지난 2012년 발표된 유엔 산하 IPCC(기후변화범정부간위원회)의 '5차 기후변화평가보고서'에 의하면 지난 100여 년간 지구평균온도가 섭씨 0.85℃ 상승했고, 대책을 세우지 않으면 세기말 섭씨 4℃-6℃로 상승할 것으로 예측한다. 지구 기온상승 즉 지구온난화의 요인은 인간이 만든(Man-made) 온실가스 때문이다. 보고서는 인류가 온실가스를 전혀 배출하지 않더라도 기후변화 영향은 수세기 동안 지속될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IPCC 과학자들은 인류와 지구의 건강을 위해서 지난 산업혁명이전 대비 지구평균기온의 상승을 최소한 2℃ 이내로 잡을 것을 역설했다.

그리고 그에 합당한 온실가스의 감축량을 지금 수준에서 2030년 30-40%, 2050년이면 80% 내외 그리고 2070년 이후에는 제로배출을 산정했다. 1.5℃로 온도상승을 억제하려면 2030년 50-60% 감축, 그리고 2050년 제로배출로 가야할 만큼 대폭적인 감축을 해야 한다. 파리협정은 IPCC의 기후과학을 수용한 셈이다.

파리협정은 이행되어야 한다. 2℃-1.5℃는 사수돼야 한다.

그러나 그것이 그렇게 쉬운 일이 아니다. 야심찬 온실가스 감축, 즉 신속한 에너지 전환이 지금부터 추진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래야만 금세기 중엽 이후 배출제로, 즉 '화석에너지의 종말'로 이어진다. 고무적인 현상은 국제 사회, 특히 지구촌에 힘 있는 국가들이 파리협정에 조기 비준했다는 사실이다. 이는 곧 국제사회가 '탈 탄소 지속가능한 미래'로 갈 의지가 강하다는 것이다.

'2℃-1.5℃'의 길은 어렵고 험난한 길이지만 반드시 가야 할 길이다. 최근 지방정부인 광주광역시도 국제사회의 흐름에 동참 '온도 1℃ 낮추기 프로젝트', '2030 미세먼지 저감대책', '기후행동계획'등과 같은 실로 시급하고 야심찬 시책을 추진한다고 한다.

이는 곧 안으로는 시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고 밖으로는 지구환경을 보전하며 파리협정을 모범적으로 실천하겠다는 의지의 표현이다. 모든 국가와 도시 지방정부, 그리고 시민들이 2℃-1.5℃를 지키기 위한 결의와 행동이 있을 때, 파리협정은 성공할 것이고, '탈탄소의 지속가능한 미래'가 도래할 것이다.

* 이 글은 전남일보에 게재된 글입니다.

저작권자 © 허프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연관 검색어 클릭하면 연관된 모든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2도씨 #기후변화 #지구온난화 #온실가스 감축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