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오존(O₃)' 농도 문제가 심각하지만, '미세먼지'에 가려 주목받지 못하고 있다

A passenger puts a masks on her son to prevent contracting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MERS) at the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in Incheon, South Korea, June 14, 2015. A South Korean hospital suspended most services on Sunday after being identified as the epicentre of the spread of a deadly respiratory disease that has killed 15 people since being diagnosed in the country nearly four weeks ago.   REUTERS/Kim Hong-Ji
A passenger puts a masks on her son to prevent contracting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MERS) at the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in Incheon, South Korea, June 14, 2015. A South Korean hospital suspended most services on Sunday after being identified as the epicentre of the spread of a deadly respiratory disease that has killed 15 people since being diagnosed in the country nearly four weeks ago. REUTERS/Kim Hong-Ji ⓒKim Hong-Ji / Reuters

지난해 전국 256개 대기오염측정소 가운데 오존(O₃) 농도 환경기준을 달성한 곳이 단 한 곳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오존의 환경기준 달성률이 3년째 1%를 밑도는 등 사실상 정부 정책이 실패했지만, 미세먼지에만 사회적 관심이 쏠리면서 제대로 주목조차 받지 못하고 있다.

오존은 자동차와 산업시설, 생활공간 등에서 주로 배출되는 질소산화물(NOx)과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 등이 자외선과 광화학 반응을 일으켜 생성되는 자극성 기체다. 폐활량을 감소시키며 기관지와 폐 질환은 물론 심장 질환까지 악화시킬 수 있어 노약자와 어린이 등의 호흡기 건강에 특히 위험한 대표적 대기오염물질로 꼽힌다. 환경기준은 환경정책기본법에 규정된 국가 목표치 성격의 기준으로 대기오염물질 가운데는 오존과 미세먼지 2종, 이산화황, 이산화질소, 일산화탄소, 납, 벤젠 등 8개 항목에 설정돼 있다. 오존의 환경기준 농도는 8시간 0.06ppm이다.

국립환경과학원이 29일 공개한 지난해 <대기환경연보>를 보면, 서울 지역 25곳을 포함한 전국 256개 대기오염 유효 측정소에서 매시간 측정한 오존 농도가 8시간 환경기준인 0.06ppm 범위 안에 든 곳은 전북 정읍시 연지동 한 곳이었다. 이에 따라 환경기준 달성률은 0.4%로 기록됐다. 전년도에는 기준을 달성한 곳이 한 곳도 없었고, 2013년에는 253개 유효 측정소 가운데 2곳만 기준을 충족해 달성률이 0.8%에 머물렀다.

<대기환경연보>를 보면, 오존은 연평균 농도도 2009년 0.024ppm에서 2010년 0.023ppm으로 줄어들었다가 이후 한 해도 내려가지 않고 지난해 0.027ppm까지 도달했다. 이에 따라 환경기준 달성률도 2010년 2.6%, 2011년 2.5%, 2012년 2.0%로 떨어진 이후 지금까지 1%를 넘지 못하고 있다.

한국환경공단의 집계를 보면, 전국 지방자치단체에서 올해 들어 지난 28일까지 오존주의보를 발령한 횟수는 모두 241회로 지난해 1년간 발령 횟수(134회)를 100회 이상 웃돌면서 1995년 오존경보제 도입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오존주의보는 지자체가 주민 건강 보호를 위해 1시간 평균 0.12ppm을 넘는 고농도 오존 발생 때 발령하는 것이어서, 오존 농도 증가와 환경기준 미달 추세는 올해도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2010년 이후 농도가 지속해서 증가하면서 환경기준 달성률이 하락 추세를 이어온 것은 8가지 대기오염 환경기준 물질 가운데 오존이 유일하다. 환경기준은 인체에 끼치는 영향뿐 아니라 실제 오염도 수준과 향후 개선 전망까지 함께 고려해 정부가 설정하는 정책 목표치 성격의 기준이란 점에서 달성률이 계속 떨어지고 있는 것은 정부의 정책 실패를 의미하는 셈이다.

환경부는 일찍부터 대기오염물질 가운데 특히 오존의 위험성에 주목해 미세먼지예보제보다 15년 앞선 1998년부터 오존예보제를 도입하고 꾸준히 적용 대상 지역을 확대해왔지만, 실제 오존 농도를 떨어뜨리는 데는 실패했다. 국립환경과학원 관계자는 “오존은 자동차 등에서 나오는 질소산화물과 도료, 휘발유 사용 등에서 발생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에 의해 만들어지는데, 이를 줄이기 위한 대책을 세워도 자동차 대수와 휘발성 유기화합물 사용량 증가 속도가 빨라서 잡기가 쉽지 않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오존을 발생시키는 광화학 반응은 기온이 높을수록 잘 일어나기 때문에 앞으로 지구 온난화가 진행되면서 고농도 오존 발생 가능성은 더욱 높아질 것으로 보고 있다. 이런 전망과 현재까지 드러난 지표로 볼 때 최근 주목받은 미세먼지뿐 아니라 오존에 대해서도 특별대책이 필요한 상황이지만 미세먼지에 가려 오존은 주목을 받지 못하고 있다.

장영기 수원대 환경에너지공학과 교수는 “환경부가 대기환경기준을 제대로 달성해본 적이 없다 보니 이것이 대기관리의 국가 정책목표라는 사실을 잊고 있는 것 같다. 얼마 전 미세먼지 특별대책을 내놓고 또 오존 특별대책을 내놓는 식이 아니라 통합적인 대기오염 관리 대책을 세우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허프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연관 검색어 클릭하면 연관된 모든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오존 #환경 #대기오염 #미세먼지 #오존농도 #온난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