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미소지니와 문학

신경림의 '농무'라는 유명한 시 중에 "비료값도 안 나오는 농사 따위야 /아예 여편네에게나 맡겨두고"라는 구절이 나온다. 미소지니라고 충분히 비판받을 수 있는 부분이다. 울분과 저항의 장에서조차 여성을 몰아내려는 시인의 잘못된 여성관이 드러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이 작품이 윤리적으로 문제가 있고 이런 작품을 쓴 시인은 지금이라도 모든 여성들 앞에서 자기반성을 해야 할까? '농무'가 비료값도 안 나오는 농사 따위는 집어치우고 집사람을 데리고 신명나게 농무를 추는 것으로 표현되었다면 더 훌륭한 작품이 되었을까?

  • 황정산
  • 입력 2016.09.19 12:43
  • 수정 2017.09.20 14:12
ⓒGettyimage/이매진스

미소지니라는 말이 최근 페북에서까지 논란을 일으키고 있다. 몇몇 사람들은 이 개념을 통해 남자로서의 반성문을 쓰기도 한다. 반면에 더러 어떤 이들은 이를 두고 이제까지 남자로서의 기득권을 누려온 늙다리들이 대세에 편승해서 여자들의 인기를 끌려는 또 다른 개저씨적인 행동이라고 비양냥거리기도 한다.

새로 부각되는 개념, 새로운 사고방식이 생기면 이를 통해 새롭게 제기되는 가치를 생각하고 그렇지 못했던 과거를 반성하는 일은 좋은 일이고 아름다운 일이다. 그것은 어찌보면 양식 있는 사람으로서 해야 할 일이기도 하다. 예를 들어 폭력이라는 개념이 존재하지 않았을 때는 강한 자가 약한 자를 괴롭히고 그의 재산을 약탈하는 행위가 아무렇지도 않았을 것이다. 폭력이라는 개념이 존재할 때 내 행위가 다른 사람에게 폭력이 되지 않을지 다시 한 번 돌아보게 된다. 이런 것을 할 수 없는 사람을 사이코패스라 한다.

하지만 이런 가치를 생각하게 하는 개념들은 항상 이상을 가정해 두고 있다. 미소지니라는 말은 지극히 바람직한 남녀 간의 평등을 그 지향점으로 두고 있다. 그리고 그에 도달하는 과정은 지난하고 험난할 것이다. 많은 갈등과 오해와 이런 것들에 기인한 지리멸렬한 싸움이 그 앞에 놓여있다. 남녀를 불문하고 한 사람 안에서도 이런 갈등이 상존하고 다양한 생각과 행동이 착종되어 있을 것이다.

그런데 이 모든 것을 무시하고 이 개념이 가질 수 있는 이상으로서의 가치를 판단기준으로 하여 모든 문화를 단죄하고 쓰레기로 만드는 것은 또 다른 야만이고 문명파괴이다. 예를 하나 들어보자. 신경림의 <농무>라는 유명한 시 중에 "비료값도 안 나오는 농사 따위야 /아예 여편네에게나 맡겨두고"라는 구절이 나온다. 미소지니라고 충분히 비판받을 수 있는 부분이다. 울분과 저항의 장에서조차 여성을 몰아내려는 시인의 잘못된 여성관이 드러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이 작품이 윤리적으로 문제가 있고 이런 작품을 쓴 시인은 지금이라도 모든 여성들 앞에서 자기반성을 해야 할까?

문학을 포함한 예술은 가치를 가치로 말하지 않는다. 그 가치에 도달하는 갈등과 아이러니를 표현하기도 하고 그 가치를 구현하지 못하는 현실의 모습을 리얼하게 보이는 것으로 그 가치의 필요성을 의식, 무의식적으로 말해주기도 하다. 위의 <농무>가 비료값도 안 나오는 농사 따위는 집어치우고 집사람을 데리고 신명나게 농무를 추는 것으로 표현되었다면 더 훌륭한 작품이 되었을까? 만약 그랬다면 윤리적으로는 더 바람직할 수 있지만 당대 현실의 핍진함에서는 더 멀어졌을 것이다. 하나의 윤리적 가치만으로 예술을 평가하는 것은 많은 위험성이 있다는 것이다.

* 이 글은 필자의 페이스북에 실린 글입니다.

저작권자 © 허프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연관 검색어 클릭하면 연관된 모든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미소지니 #신경림 #농무 #황정산 #문학 #문화 #예술 #여성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