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나 혼자 산다'는 이제 대세를 넘어섰다 : 1인 가구, 520만 돌파했다

ⓒMBC

1명으로 구성된 '나 홀로 가구'가 가파르게 늘면서 가장 흔한 가구로 자리 잡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 가구원 수가 줄고 가족끼리 따로따로 사는 경향이 짙어진 탓이다.

교과서에서 흔히 보던 아버지, 어머니, 자녀 두 명으로 구성된 4인 가구는 이제 1인, 2인, 3인 가구보다 더 드물게 됐다.

7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5 인구주택총조사'를 보면 지난해 평균 가구원 수는 2.53명으로 직전 조사인 2010년 2.68명보다 0.15명 감소했다.

평균 가구원 수는 1990년 3.77명에서 지속적으로 감소해 2005년 2.88명으로 3명 미만으로 떨어지더니 2명 중반대까지 줄어들었다.

나 홀로 가구 비중도 빠르게 늘어나는 추세를 보인다.

지난해 1인 가구는 520만3천 가구로 전체(1천911만1천 가구)의 27.2%를 차지, 2010년 23.9%보다 3.3%포인트 증가했다.

1인 가구는 2인 가구(499만4천 가구·26.1%), 3인 가구(410만1천 가구·21.5%), 4인 가구(358만9천 가구·18.8%)를 제치고 가장 흔한 가구가 됐다.

반면 5인 이상으로 구성된 가구는 122만4천 가구로 6.4%에 그쳤다.

1인 가구 비중은 1990년 9.0%에 불과했다가 이후 빠르게 늘었다.

당시까지만 해도 4인 가구(29.5%)와 5인 이상(28.7%)이 전체 가구의 60%에 육박할 정도였다.

이에 따라 가장 주된 가구유형도 점차 변화됐다.

1990년부터 2005년 조사까지는 4인 가구가 가장 흔했지만 2010년엔 2인 가구(24.6%)로 바뀌었고 5년 만에 1인 가구가 가장 주된 가구가 됐다.

1인 가구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강원(31.2%)이었고 인천(23.3%)이 가장 낮았다.

1인 가구 중에선 30대가 18.3%(95만3천 가구)로 가장 높았다. 그다음이 70세 이상(17.5%·91만 가구), 20대(17.0%·88만7천가구)였다.

남성(49.8%·259만3천가구)과 여성 1인 가구(50.2%·261만 가구) 비중은 비슷했다.

남성에서는 30대(23.5%) 1인 가구 비율이 가장 높았고 여성에서는 70세 이상(27.6%)이었다.

하봉채 통계청 등록센서스과장은 "1인 가구는 여성 등 경제활동하는 인구가 많아지면 자연적으로 늘어난다"며 "대학생이 되면 타지로 유학을 많이 가는 점도 1인 가구가 늘어나는 이유"라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허프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연관 검색어 클릭하면 연관된 모든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나혼자산다 #사회 #인구 #1인 가구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