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나홍진과 박찬욱이 깨운 말

나홍진의 '곡성'과 박찬욱의 '아가씨'는 한국영화가, 그리고 한국영화를 본 관객들이 잃어버린 언어를 실감하게 만든다. 인간의 내면적인 호기심을 직설적으로 강타하고, 기이한 방식으로 작동하는 세계의 은유를 통해 호기심의 외연을 키워낸다. 상영관을 벗어난 순간 맺힌 감상이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털어내 버리기 보단 들여다 보고 싶게 만든다. 그런 의미에서 한국영화 신에 새로운 활기를 불어넣는 나홍진과 한국영화 신에 지속적인 흥미를 부추기는 박찬욱을 통해 환기된 영화를 향한 언어들은 보다 소중하다.

  • 민용준
  • 입력 2016.07.01 13:33
  • 수정 2017.07.02 14:12

<곡성>과 <아가씨>는 중력 같은 영화들이다. 근래 한국영화를 두고 논할 때 좀처럼 발견할 수 없던 언어가 두 영화 주변으로 시끄럽게 모여들었다.

지난 5월 11일에 개최된 칸국제영화제에서 <아가씨>는 경쟁부문에 초청됐다. <곡성>은 비경쟁부문에 초청됐다. <아가씨>는 박찬욱 감독이 미국으로 건너가 완성한 <스토커> 이후 3년 만에 선보이는 장편이었다. 국내에서 제작된 작품으로선 <박쥐> 이후로 7년 만이었다. <곡성> 역시 나홍진 감독이 <황해> 이후로 6년 만에 선보이는 신작이었다. 두 작품 모두 개봉 전부터 세간의 주목을 받았다. 예상할 수 없는 무언가를 볼 수 있다는 기대감이 불어오고 있었다. <곡성>은 5월 11일에 개봉했다. 한 달여 만에 600만 관객을 끌어들였다. <아가씨>는 6월 1일에 개봉했다. 2주 만에 300만 관객을 끌어들였다. 흥행작이 됐다. 그리고 여느 흥행작처럼 수많은 감상이 올라왔다. 그런데 근래 여느 흥행작들과는 다른 느낌의 감상들이 쏟아졌다. 영화에 대한 호불호를 넘어서 영화에 대한 해석이 폭포처럼 쏟아지고, 영화적 의도에 관한 논쟁이 뜨겁게 오간다. 관객의 시점에서 영화를 평가하기보단 감독의 시점을 유추해내려는 노력이 두드러진다. 객석보단 스크린 너머에 주도권이 놓인 인상이다.

<곡성>은 감각을 마비시키는 작품이다. 영화를 본 대부분의 관객들은 시속 150km로 날아오는 폭투를 피한 것처럼 넋이 나간 기분으로 상영관을 나왔을 것이다. 너무 세게 맞아서 통증보다 얼얼함이 느껴지는 듯한, 그래서 뒤늦게 깨어난 감각과 함께 살아나는 통증의 정체를 알고 싶고, 하고 싶은 말이 많아졌을 거다. <아가씨>는 민감한 소재를 도발적으로 다루면서도 감각을 예민하게 일깨우는 작품이다. 어떤 이는 몸을 휘감고 지나가는 카타르시스를 느낄 것이고, 어떤 이는 자신의 욕망을 발가벗기고 조롱 당한 듯한 불쾌함과 직면했을 것이다. 그래서 영화의 지지 여부를 사이에 둔, 언어의 전선이 형성될 수밖에 없다. 이처럼 두 영화를 둘러싼 언어의 온도는 각기 다르다. 하지만 두 영화가 어떤 식으로든 존중 받고 있다는 건 명확하다. 찬사와 비판 모두 영화의 의도 안에서 이뤄진다. '재미있다' 혹은 '재미없다'는 이분법적인 감상을 넘어 영화적인 의도 자체를 중심에 둔 해석과 논쟁이 야기된다는 건 결국 두 영화가 지닌 '영화적인 힘' 자체를 인정 받았음을 의미한다.

근 몇 년 사이 한국영화는 일정한 억양으로만 발음됐다. 영화에 대한 완성도를 논하는 억양은 여전하지만 영화를 해석하고, 지지하고, 영화에 대한 논쟁을 벌이는 억양은 힘을 잃었다. 소위 말해 '때깔'이 좋은 영화들은 많아졌지만 영화를 보고 나면 별다르게 하고 싶은 말이 없어졌다. 영화들이 너무 명확해졌기 때문이다. 지난해 최고의 화제작이자 흥행작이었던 <암살>과 <베테랑>을 봐도 그렇다. 두 작품은 우리가 짊어진 과거의 역사와 현재의 사회를 관통하는 수작이다. 보고 나면 우리가 지금 시대에 던져야 할 말에 대해 깨닫게 되는 쾌감이 있다. 하지만 결국 언어도 그 쾌감에 갇힌다. 두 영화가 지닌 영화적 문법을 설명하거나 두 영화가 관통하는 화두의 배경 지식과 사회 분위기를 살필 순 있지만 두 영화를 통해 무언가를 상상하긴 어렵다. 물론 이는 <암살>과 <베테랑>을 저평가하기 위해 동원된 언어가 아니다. 다만 최근의 한국영화 대부분이 그런 장르적 쾌감과 형태적 완성도 그리고 이야기의 완결성에 사로잡혀 무언가를 자꾸 잊고 있다는 인상을 준다는 말이다. 형식적으론 꽉 차 있지만 상상하게 만드는 재미가 현저하게 줄어든 인상이랄까. 또 다른 화제작이었던 <내부자들> 또한 크게 다르지 않다. 영화에 대한 호감은 있지만 영화 이상의 호기심이 작동하지 않는다. 그저 이 세계가 돌아가는 부조리한 함수를 상영관에서 확인하고 사회적인 불만과 분노를 대신 일갈하고 때려눕혀준 영화에 대한 대리만족적인 쾌감만 되새김질될 뿐이다.

그런 면에서 나홍진의 <곡성>과 박찬욱의 <아가씨>는 한국영화가, 그리고 한국영화를 본 관객들이 잃어버린 언어를 실감하게 만든다. 인간의 내면적인 호기심을 직설적으로 강타하고, 기이한 방식으로 작동하는 세계의 은유를 통해 호기심의 외연을 키워낸다. 상영관을 벗어난 순간 맺힌 감상이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털어내 버리기 보단 들여다 보고 싶게 만든다. 그런 의미에서 한국영화 신에 새로운 활기를 불어넣는 나홍진과 한국영화 신에 지속적인 흥미를 부추기는 박찬욱을 통해 환기된 영화를 향한 언어들은 보다 소중하다.

본래 영화는 보는 재미만큼이나 말하는 재미가 쏠쏠한 매체다. 대중문화의 카테고리 안에 놓인 어떤 매체보다도 말의 힘이 강력하다. 그래서 영화에 관한 리뷰는 플랫폼의 형태와 무관하게 끊임없이 소비된다. 대중문화의 카테고리 안에 놓인 여느 매체보다도 언어로 재생산되는 비율이 현저하고, 관련 커뮤니티도 발달돼 있다. 대중문화 안에서 가장 활발하게 소비되는 매체이기 때문일지도 모른다. 어쩌면 모든 영화를 동일한 가격에 볼 수 있기 때문일지도 모른다. 보고 싶은 영화를 고른다는 건 결과적으로 기회비용이 따르는 선택이다. 영화에 대한 말을 듣는다는 건 더 좋은 영화를 소비하겠다는 욕망과 깊게 연관돼 있다. 결국 영화를 말한다는 건 우리가 더 나은 영화를 볼 수 있는 확률이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이런 언어들은 우리가 흥미롭게 여기는 감독들과 작가들의 자궁 노릇을 했다. 영화를 말한다는 건 결국 흥미로운 영화를 볼 수 있는 문턱으로 한 걸음 다가가는 기회일지도 모른다. 아니, 확실한 기회다.

[동방유행] 매거진에 게재된 기사를 재편집한 글입니다.

저작권자 © 허프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연관 검색어 클릭하면 연관된 모든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박찬욱 #나홍진 #아가씨 #곡성 #영화 #언어 #리뷰 #말 #한국영화 #민용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