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플라스틱 공해에 맞서기 위한 노르웨이의 획기적인 방책이 성과를 내고 있다

????????????????????

  • 김태성
  • 입력 2018.08.23 15:43
  • 수정 2018.08.23 15:50

거의 모든 선진국이 플라스틱 폐기물이란 골치를 앓고 있다. 그러나 노르웨이는 예외다. 전국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환수 제도 덕분에 플라스틱병 97%가 재활용되고 있는 상태다.

노르웨이의 재활용 제도를 뒷받침하는 근본정신은 플라스틱 용기는 개인 소유가 아니라는 거다. 잠깐동안 빌려 쓰는 것일 뿐이다. 더군다나 플라스틱병을 거의 아무 데서나 - 예를 들어 슈퍼, 주유소, 또는 학교나 동사무소 같은 공공장소에 설치된 수천 개의 벤딩 기계에서 - 돈이나 또는 동일한 가치의 매장 크레딧으로 돌려받을 수 있기 때문에 플라스틱병을 재활용하지 않는 게 노르웨이인에게는 오히려 상상하기 어렵다.

노르웨이의 플라스틱 제조사들은 환경세를 낼 책임이 있다. 그런데 재활용을 많이 하면 할수록 그 부담이 준다. 거의 모든 플라스틱 제조업체가 정부의 환수제도에 참여하고 있는데, 국가 전체의 플라스틱 재활용 비율이 95%를 넘으면 모든 업체의 환경세가 면제된다. 그리고 플라스틱 제조업체들은 이 목표를 지난 7년 동안 계속 달성해왔다.

업체들이 목표 퍼센티지를 달성하는 방법은 간단하다. 모든 빈 병에 약 180원에서 360원의 값어치를 매겨 재활용 시 소비자에게 돌려준다. 이렇게 회수된 우수 품질 플라스틱은 새로운 플라스틱병은 물론 섬유, 포장지 등으로 둔갑한다.

ⓒTOMRA

너무나 간단하면서도 효과적인 제도라 어느 국가나 실천할 수 있을 것 같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다. 미국의 경우 플라스틱병 재활용률은 1995년의 37.3%에서 현재 28% 선으로 오히려 하락했다.

한국은 재활용 비율이 2011년 83.7%에서 2016년 85.7%로 꾸준히 오르는 추세나 노르웨이에 비하면 한참 뒤떨어진다.

미국의 경우 음료업체들의 반대 로비가 이런 제도를 실행하는데 가장 큰 걸림돌이다. 업체들은 환불금 때문에 우선 높아진 음료 가격이 소비를 크게 위축시킬 것이라고 걱정한다.

환급 제도를 오래전부터 실천해온 버몬트나 캘리포니아 같은 주도 있지만, 100원 미만의 환불금 때문인지 실패 사례가 많다. 예를 들어 캘리포니아에는 환불 센터가 약 1,000개나 있었는데 지난 2년 사이 그중의 40%가 문을 닫았다.

물론 가장 좋은 방법은 재활용과 더불어 플라스틱 사용 자체를 줄이는 것이다.

예를 들어 런던의 폴리메테리아 같은 첨단 환경업체는 생분해와 재활용이 모두 가능한 차세대 플라스틱을 개발 중이다. 

 

*허프포스트US의 글을 번역, 편집한 것입니다.  

저작권자 © 허프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연관 검색어 클릭하면 연관된 모든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환경 #굿뉴스 #플라스틱 #재활용 #노르웨이 #공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