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밥먹고 사람 만나고 방송 보고' 지난해 한국인들의 삶의 낙은 이것이었다

통계청은 '2019년 생활시간조사 결과'를 30일 발표했다.

자료사진. 
자료사진.  ⓒpetrenkod via Getty Images

 

지난해 한국인은 5년 전에 비해 잠을 자거나 외모 관리에 더 많은 시간을 쓴 반면 일하거나 학습하는데는 시간을 아낀 것으로 조사됐다.

30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9년 생활시간조사 결과’를 보면, 지난해 10살 이상 국민이 수면·식사 등을 위해 쓴 필수 시간은 하루 평균 11시간34분으로 5년 전보다 20분 늘었다. 수면 시간은 평균 8시간12분으로 5년 전보다 13분 늘었다. 연령별로는 10대가 8시간43분으로 가장 많고 다음은 20대 8시간27분, 60살 이상 8시간18분, 30대 8시간14분, 40대 7시간57분, 50대 7시간48분 순이었다.

잠에 드는 가장 빠른 시각은 일요일 밤 11시17분이었고, 가장 늦은 시각은 금요일 밤 11시32분이었다. 기상시각은 평일 평균 아침 6시55분이었고, 일요일은 평일보다 51분 늦은 아침 7시46분이었다. 외모관리 등 개인유지 시간은 1시간27분으로 5년 전보다 9분이 늘었다.

일, 학습, 가사노동 등에 들이는 의무시간은 7시간38분으로 5년 전보다 19분 감소했다. 5년 전보다 일하는 시간(3시간13분)은 3분 줄고, 학습시간(54분)은 13분 감소했다. 가사노동시간(1시간56분)은 1분 늘었다. 남녀 가사노동 시간의 격차는 줄었지만 여전히 큰 차이를 보였다. 성인 남자는 하루에 56분, 여자는 3시간13분을 가사노동으로 보내 5년 전보다 22분 줄어든 2시간17분 차이였다.

전국민의 시간 사용
전국민의 시간 사용 ⓒ한겨레
학생의 시간사용
학생의 시간사용 ⓒ한겨레

학생별로 학습시간을 보면 고등학생은 6시간44분으로 5년 전보다 50분 줄었다. 중학생은 5시간57분으로 44분이, 초등학생은 4시간46분으로 34분이 줄었다. 대학(원)생은 3시간29분으로 25분 줄었다. 강유경 통계청 사회통계기획과장은 “2014년 9월부터 경기도를 시작으로 0교시 수업 폐지가 확산됐으며, 주5일 수업 의무화와 체험학습 활성화 등의 영향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식사 시간은 평일 아침(25분)이 가장 짧고, 토요일 저녁(39분)이 가장 길었다. 아침식사 시작 시각은 평일은 아침 7시50분이었고, 토요일은 29분, 일요일은 39분이 각각 늦었다. 저녁식사 시작 시각은 일요일이 저녁 6시56분으로 가장 빠르고, 평일이 저녁 7시5분으로 가장 늦었다.

여가 시간은 4시간47분으로 2014년(4시간49분)과 큰 차이가 없었다. 연령대별로는 60살 이상이 6시간21분으로 가장 많고, 10대(4시간52분), 50대와 20대(4시간30분 내외), 40대(4시간2분), 30대(3시간39분) 순이었다.

15살 이상 국민 가운데 평일에 일한 사람 비율은 60.6%였으며, 이들이 평균 일한 시간은 5년 전보다 11분 줄어든 6시간41분이었다. 평일 출·퇴근 시간은 전국 평균 1시간16분으로 5년 전에 비해 1분만 줄었으며, 수도권인 서울, 경기, 인천이 평균보다 각각 15분, 12분, 9분 많았다. 또 가장 기분 좋은 행위를 묻는 질문에는 식사하기, 대면교제, 실시간 방송 시청 등의 순으로 가장 많았다.

통계청은 1999년부터 5년마다 한국인이 하루 24시간을 어떤 형태로 보내고 있는지 조사해 공개하고 있다.

저작권자 © 허프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연관 검색어 클릭하면 연관된 모든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통계청 #한국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