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백신 테스트를 위해 실험실로 끌려간 투구게 10~30%가 목숨을 잃는다

지난해에는 투구게 개체 수조차 파악되지 않았다.

투구게.
투구게. ⓒPosnov via Getty Images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창궐한 지 1년이 훌쩍 넘었다. 전 세계 제약 회사들은 코로나 백신을 재빠르게 내놨고, 각 국가들은 국민 접종을 서두르고 있다. 사람들은 알까? 그 사이 투구게가 소리도 없이 목숨을 잃고 있었다는 사실을.

투구게는 그 이름과 다르게 거미나 전갈에 가까운 특성을 가졌다고 한다. 눈이 10개나 달린 이 투구게는 몸속에 흐르는 파란 피 때문에 인간들로부터 수십 년째 피를 착취당하고 있다.

'business insider'가 제작한 투구게 관련 영상 캡처. 투구게가 파란 피를 쏟아내고 있다.
'business insider'가 제작한 투구게 관련 영상 캡처. 투구게가 파란 피를 쏟아내고 있다. ⓒbusiness insider

투구게의 파란 피는 외부에서 세포가 침입했을 때 혈액을 응고시키는 특징을 가지는데, 이 영향으로 나머지 부분을 독소로부터 보호하게 된다. 1970년대부터 의료진은 이러한 투구게의 혈구를 활용한 테스트를 개발했다. 백신 속 박테리아를 검사하는 용도다. 이후 해마다 수천마리의 투구게들이 피를 뽑힌다.

비즈니스 인사이더가 제작한 아래 영상을 보면 투구게는 온 몸을 완전히 결박 당한 채 파란 피를 끊임없이 토해내야만 한다.

더 아틀란틱이 정리한 내용을 보면 바다에서 실험실로 끌려간 투구게들은 심장 주위의 조직이 뚫려 체내 30% 가량의 피를 빼앗긴다. 그리고 24시간에서 72시간 내에 다시 바다로 버려진다. 업계에서는 이 같은 출혈이 투구게의 생명을 빼앗지 않는다고 항변하지만, 실험실로 간 투구게 10~30%는 목숨을 잃는다.

어렵게 생명을 건진다고 하더라도 투구게 생태계는 망가진다는 연구 결과도 나왔다. 뉴햄프셔 대학교와 플리머스 주립대학교는 한꺼번에 발생하는 다량의 출혈은 투구게의 생식 본능을 꺼트릴 수 있다는 결과를 확인했다.

실제로 투구게의 개체 수는 점점 줄어들고 있다. 투구게 주요 산란지인 델라웨어 만을 해마다 조사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1990년 투구게 주요 산란지인 델라웨어 만에서 124만 마리의 투구게가 산란한 것으로 추정된다. 2002년 그 수는 33만3500마리로 급감했다. 

다행히 투구게 산란 추정치는 조금씩 늘어나 65만4263마리(2018년), 72만4533마리(2019년)를 기록했다. 그러나 코로나19 팬데믹 시대를 맞아 백신 수급이 확대하면서 전 세계 제약 회사들이 필요로 하는 투구게 수는 더욱 늘어났고, 매년 빠짐없이 이뤄졌던 투구게 산란 조사는 지난해 진행조차 되지 않았다. 그 결과 회복돼 가던 투구게 산란 추세를 알 길이 꽉 막히고 말았다. 환경단체들은 투구게를 먹이로 하는 종들의 급감도 우려하고 있는 상황이다.

 

도혜민 에디터: hyemin.do@huffpost.kr

저작권자 © 허프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연관 검색어 클릭하면 연관된 모든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코로나19 #동물 #백신 #투구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