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우한 바이러스' 단어 넣자는 미국의 고집으로 G7 외교장관 공동성명이 무산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 바이러스'라는 표현을 더 이상 쓰지 않겠다고 밝힌 바 있다.

  • 허완
  • 입력 2020.03.26 17:37
  • 수정 2020.03.26 17:46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이 G7 외교장관 회의 이후 국무부 청사에서 브리핑을 하고 있다. 워싱턴DC, 미국. 2020년 3월25일.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이 G7 외교장관 회의 이후 국무부 청사에서 브리핑을 하고 있다. 워싱턴DC, 미국. 2020년 3월25일. ⓒANDREW CABALLERO-REYNOLDS via Getty Images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주요 7개국(G7) 외교장관 회의 공동성명에 코로나19를 ’우한 바이러스’로 명기할 것을 주장해 성명 채택이 무산됐다. 코로나19 공동 대응을 위한 주요 20개국(G20) 화상 정상회의를 앞두고 ‘책임론’을 둘러싼 미국과 중국의 날선 공방이 이어지면서, 양국 갈등의 골이 갈수록 깊어지고 있다.

26일 독일 슈피겔 등의 보도를 종합하면,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은 코로나19 확산에 따라 25일(현지시각) 화상으로 열린 회의 공동성명에 코로나19 최초 발견지인 중국 후베이성의 성도 우한을 적시해 ‘우한 바이러스’로 표현할 것을 주장했다. 미국은 이 표현을 넣은 성명 초안까지 작성했다. 그러나 다른 나라들은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국제적 협력이 필요한 때에 불필요한 분열을 일으킬 뿐”이라며 반대했다. 결국 공동성명 채택은 무산됐고, 프랑스 등 일부 나라들은 각자 성명을 냈다. 

폼페이오 장관은 회의에서 코로나19가 우한에서 시작됐으며 중국 정부는 그 위험성에 대해 초기에 전세계에 경고할 특별한 책임이 있었다는 점을 지적하는 게 중요하다고 주장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는 회의 뒤 국무부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도 ’우한 바이러스’란 표현을 재차 사용하며, “중국이 책임을 전가하기 위해 정보 은폐와 거짓 정보 유포를 하고 있다”고 비난을 이어갔다.

코로나19 브리핑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원고의 '코로나바이러스'를 '중국 바이러스'로 수정한 모습. 2020년 3월23일.
코로나19 브리핑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원고의 '코로나바이러스'를 '중국 바이러스'로 수정한 모습. 2020년 3월23일. ⓒBRENDAN SMIALOWSKI via Getty Images

 

앞서 그간 코로나19를 ’중국 바이러스’로 불렀던 트럼프 대통령은 ‘인종차별과 폭력을 부추길 수 있다’는 지적에 앞으로는 해당 표현을 삼가겠다고 24일 폭스뉴스와 한 인터뷰에서 말했다. 그는 “코로나19가 중국에서 왔다는 것은 모두가 안다. 그러나 더는 그것 때문에 큰일을 벌이지 않기로 했다”고 말했다.

하지만 대중 강경론을 주도하고 있는 피터 나바로 백악관 무역·제조업 국장은 중국산 의약품·방역용품 의존도를 줄이기 위한 이른바 ‘바이 아메리카’(미국산 구입) 행정명령을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지는 등 미국 쪽 기세는 누그러지지 않고 있다.

중국 쪽은 거세게 반발하고 있다. 겅솽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전날 정례 브리핑에서 “중국은 (코로나19 발생 초기부터) 정보를 충실하게 공유해왔다. 미국은 더이상 코로나19를 정치 쟁점화하지 말라”고 말했다. 앞서 관영 신화통신은 “미국이 중국산 의약품 수입을 금지하면 코로나19 지옥으로 빠져들 것”이라고 주장한 바 있다.

저작권자 © 허프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연관 검색어 클릭하면 연관된 모든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미국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코로나19 #중국 #마이크 폼페이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