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수의 대신 비닐백에 밀봉해 입관 : 코로나19 시대의 장례, 죽음의 풍경마저 달라졌다

코로나19 사망자를 향한 낙인과 두려움이 장례 절차도 바꾸었다.

국립중앙의료원에서 코로나19로 희생된 환자의 주검이 운구되고 있다.
국립중앙의료원에서 코로나19로 희생된 환자의 주검이 운구되고 있다. ⓒ한겨레

 

2020년 12월26일 오후 3시30분 국립중앙의료원 장례식장 앞에서 두 관이 운구차에 오른다. 화장장으로 향할 시간이다. 관을 따르던 한 여성은 휴대전화를 들고 떠나는 장면을 촬영한다. 죽음의 장면이 낯선지, 한 학생은 조금 멀찍이 떨어져 있다.

국립중앙의료원 장례식장에서 일하는 손진희(34) 장례지도사는 이날 코로나19에 확진된 뒤 유명을 달리한 두명의 입관과 발인을 진행했다. 코로나19 환자가 숨지면 ‘선 화장, 후 장례’가 원칙이다. 음압격리병동에서 사망자가 생겼다는 연락이 오면, 관을 준비해 일명 ‘우주복’이라고 하는 전신보호복을 챙겨 입는다. 병동까진 이송차량으로 이동해 주검을 확인한다.

그러나 염습은 불가능하다. 주검이 두차례 소독 뒤 밀봉되기 때문이다. 수의 대신 입던 옷 그대로 주검을 담는 비닐백에 안치한다. 유족이 고인 얼굴을 확인하고 싶다면, 입관 직전 병실 안에서 비닐백에 싸인 모습을 유리창문으로 볼 수 있다. 이후 결관(운반을 위해 관을 묶는 것)한 뒤 다시 이송차량으로 장례식장에 돌아와 안치실에 모신다. 결관한 뒤엔, 고인 이름만 확인할 수 있다.

“예전엔 (고인) 사진을 찍는 걸 꺼렸는데, 코로나19 유행 초기엔 (가족이) 입관 과정을 사진이나 영상으로 찍기도 했어요. 하루이틀 새 갑자기 안 좋아져서 (숨지면) 가족이 늦게 오시거나 외국에 있어서 (병원에) 못 오니까 그렇게도 하시더라고요.”

손씨는 최근엔 이마저도 잘 안된다고 했다. 사망자 가족까지 격리되는 경우가 늘어나면서다. “가족이 같이 코로나19에 확진됐는데 한분은 일반 격리병실에 있고 다른 분은 중환자 병실에 있다가 돌아가신 사례도 있었어요.”

손진희 장례지도사가 장례식장 지하의 안치실 문을 열고 있다. 안에는 코로나19 확진 사망자와 비확진 사망자가 머무는 안치냉장고가 구분돼 있다.
손진희 장례지도사가 장례식장 지하의 안치실 문을 열고 있다. 안에는 코로나19 확진 사망자와 비확진 사망자가 머무는 안치냉장고가 구분돼 있다. ⓒ한겨레

 

코로나19 사망자를 향한 낙인과 두려움이 장례 절차도 바꾸었다. 보통 코로나19로 숨진 이들은 서울 서초구 서울추모공원과 경기도 고양시 서울시립승화원에서 화장 절차를 거치는데, 다른 사망자(코로나19 비확진자)가 다 끝난 오후 5시가 넘어서야 화장이 가능하다. 장례도 3일장을 다 채우지 않거나, 아예 빈소를 차리지 않고 유족이 유골만 인수해 납골당에 가는 일이 종종 있다. 한달 평균 110∼120건씩 이뤄지던 장례가 지금은 40∼50건으로 절반 넘게 뚝 떨어진 이유다.

반대로 화장장은 평소보다 바빠졌다. 장례지도학과를 졸업한 뒤 2007년 국립중앙의료원에 입사해 2015년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도 겪은 손씨는 8월 말을 기점으로 사망자가 조금씩 늘어나는 걸 실감한다. 이날까지 그가 동료(7명)와 함께 이곳에서 보낸 코로나19 사망자는 어림잡아 34명.

“메르스 땐 몇달만 고생하면 나아지겠지 했는데 계속되니까 다들 지쳐 있죠.” 손씨는 덤덤하게 말한다. “그래도 계속 가는 거예요. 힘들어도 어쩔 수 없으니까.” 이날 전국에서 18명의 코로나19 확진자가 숨졌다.

저작권자 © 허프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연관 검색어 클릭하면 연관된 모든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코로나19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장례식 #장례 #장례지도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