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볼턴의 회고 : 트럼프는 방위비분담금 인상 위해 '주한미군 철수 협박'을 꺼냈다

문재인 대통령은 요구를 거절하며 트럼프 대통령을 설득하려 했다고 한다.

  • 허완
  • 입력 2020.06.22 09:45
(자료사진) 문재인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청와대에서 정상회담을 마친 뒤 공동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2019년 6월30일.
(자료사진) 문재인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청와대에서 정상회담을 마친 뒤 공동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2019년 6월30일. ⓒASSOCIATED PRESS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한국과 일본에서 미군 주둔 비용을 올려 받기 위해 미군 철수를 위협하라고 말했다고 존 볼턴 전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이 오는 23일 발간될 책 <그 일이 일어난 방: 백악관 회고록>에서 주장했다.

21일(현지시각) 볼턴의 책을 보면, 지난해 7월 방위비 분담금 문제를 논의하러 한국과 일본을 방문한 뒤 그 결과를 트럼프 대통령에게 보고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당시에도 지금과 마찬가지로 한국에 연간 50억 달러를 요구하고 있었다. 일본에 요구 금액은 80억 달러다.

볼턴은 책에서 “트럼프는 매년 지급 비용으로 80억 달러와 50억 달러를 얻는 방법은 모든 미군을 철수한다고 협박하는 것이라고 말했다”고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그래야 매우 강한 협상 위치에 서게 된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북한의 미사일 발사에 대한 보고를 받은 이튿날 “돈을 요구하기 좋은 때”라며 오벌오피스에 있는 다른 이들에게 “존(볼턴)이 올해 10억 달러를 가져왔는데 미사일 때문에 50억 달러를 얻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볼턴은 책에서 “얼마나 고무적인가”라며 트럼프 대통령을 비꼬았다.

볼턴은 트럼프 대통령이 해외 주둔 미군 유지비용과 관련해 ‘비용 플러스 50%’ 방침을 갖고 있다고 전했다. 한국의 경우, 그렇게 계산하면 매년 50억 달러라고 한다. 볼턴은 책에서 “나는 적당한 금액을 내지 않는 나라에서 군대를 철수한다는 트럼프의 궁극적인 위협이 한국의 경우 실제일 수도 있기 때문에 트럼프가 원하는 것을 거부하지 않고 전략을 짜내려 했다”고 적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남-북-미 정상회동 당일에도 청와대에서 문재인 대통령과 방위비 분담금 문제로 장시간 논쟁을 벌였다고 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남-북-미 정상회동 당일에도 청와대에서 문재인 대통령과 방위비 분담금 문제로 장시간 논쟁을 벌였다고 한다. ⓒASSOCIATED PRESS

 

지난해 2월말 하노이 북-미 정상회담이 합의 없이 끝난 뒤 4월11일 문재인 대통령이 워싱턴을 방문했을 때도 트럼프 대통령은 50억 달러를 요구했고, 문 대통령은 한국의 기업들이 미국에 투자하고 있다며 트럼프 대통령의 요구 액수는 너무 크다고 말했다고 한다. 판문점에서의 남-북-미 정상 회동이 이뤄진 6월30일 당일에도 청와대에서 문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은 방위비 분담금 문제로 장시간 논쟁을 벌인 것으로 나타났다.

문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한국의 대미 무역흑자가 줄어들었고, 한국은 미국 액화천연가스(LNG)의 최대 수입국이며, 한국의 대미 투자도 늘어나 양국 무역수지가 미국에 더 좋아졌다고 말했다. 또한 한국의 무기 구입과 미군기지 땅 무상 제공 등도 연합 방위에 중대한 부분이라고 설명했다. 한국이 국내총생산의 2.4%를 방위비에 쓴다는 점도 강조했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은 손을 내저으며 어깨를 들썩이고 한숨을 쉬었다고 한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이 70년간 한국의 군대였으며 이제 한국을 구하기 위해 김 위원장을 보려고 하는 거라고 말했다.

이에 문 대통령은 미국의 상당한 지원을 인정하면서도 한국이 도움을 받기만 한 게 아니고 베트남과 아프가니스탄 등에 군대를 보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은 대화를 끝내면서 볼턴에게 사람을 찾아서 방위비 협상을 시작하라고 했다고 한다.

저작권자 © 허프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연관 검색어 클릭하면 연관된 모든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미국 #도널드 트럼프 #북한 #문재인 #김정은 #주한미군 #방위비 분담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