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코로나19 심리적 고위험군' : 실직자, 노년층 문제에 적극 대응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사스 직후 홍콩에서 자살이 급증했다"

자료사진
자료사진 ⓒJustin Paget via Getty Images

코로나19의 사회·경제적 파장에 따른 심리적 문제에 적극 대비하지 않으면 스스로 목숨을 끊는 이들이 크게 늘어날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사우스차이나 모닝포스트(SCMP)는 27일 정신의학 전문가의 말을 따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사회·경제적 위기가 심화하고, 방역을 위한 이동제한과 사회적 거리두기 등의 조처가 길어지면 정신 건강에 치명적인 영향을 끼칠 수밖에 없다”며 “코로나19의 사회·경제적 파장이 전면화하는 시점에 그로 인한 심리적 문제도 현실화할 수 있다”고 전했다.

폴 입 홍콩대 자살예방연구센터 소장은 신문에 “코로나19로 인해 일자리를 잃은 사람과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사람, 노년층 등을 ‘고위험군’으로 볼 수 있다”며 “특히 이동제한 조처로 집안에 머무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고립감이 심해지면서 자살 위험도 훨씬 높아진다”고 말했다.

자료사진: 4월14일 락다운 상태인 홍콩에서 한 시민이 임시보호 중인 강아지와 산책 중인 모습
자료사진: 4월14일 락다운 상태인 홍콩에서 한 시민이 임시보호 중인 강아지와 산책 중인 모습 ⓒANTHONY WALLACE via Getty Images

입 소장은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심리·정신적 파장 연구를 위해 다국적 정신 의학 전문가 42명이 꾸린 자살방지 연구팀의 일원이다.

이들은 지난 21일 의학전문지 랜싯에 기고한 글에서 “지난 1918~19년 유행성 독감이 창궐했던 미국과 2003년 사스(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SARS) 파동 당시 홍콩에서도 자살률이 급증했다”며 “실업이나 경제적 어려움이 잘 알려진 자살의 주요 원인”이라고 지적했다.

앞서 지난 2003년 사스 파동 당시 홍콩에선 방역을 위한 이동제한 조처 속에 실업률이 8.5%까지 치솟았다. 이에 따라 홍콩의 자살률도 인구 10만명 당 18.6명까지 높아지면서, 모두 1264명이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당시 홍콩의 사스 확진자는 모두 1775명으로 이 가운데 299명이 목숨을 잃었다.

입 소장은 “고위험군을 적극적으로 지원하지 않으면, 지난 2003년 사스(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SARS) 사태 당시보다 자살률이 더욱 높아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그는 이어 “코로나19로 인한 사회·경제적 파장보다 훨씬 오래 지속될 심리적 영향에 대한 대비를 해야 한다”며 “정부는 사회적 약자에 대한 식료품, 주거, 실업급여 등 경제적 안전망을 적극 제공하는 한편, 코로나19 방역에 집중하느라 자짓 정신건강 관련 공공의료 지원이 소흘해지지 않도록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허프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연관 검색어 클릭하면 연관된 모든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코로나19 #정신건강 #우울증 #스트레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