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기후변화 대응 실패할 경우 50년 내로 맞이할 수 있는 미래 (연구 결과)

탄소 배출량의 감소를 해결책으로 본 연구팀

인류가 현재 추세로 온실가스를 계속 배출할 경우 적도 부근 검게 표시된 지역과 같은 연평균 기온 29도 이상인 환경이 50년 뒤 그 주변 빗금 친 지역까지 확대될 전망이다. 2070년 이 지역에는 약 35억명의 사람들이 거주할 것으로 예측됐다
인류가 현재 추세로 온실가스를 계속 배출할 경우 적도 부근 검게 표시된 지역과 같은 연평균 기온 29도 이상인 환경이 50년 뒤 그 주변 빗금 친 지역까지 확대될 전망이다. 2070년 이 지역에는 약 35억명의 사람들이 거주할 것으로 예측됐다 ⓒ한겨레/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 제공

인류가 기후변화 대응에 실패하면 세계 인구의 3분의 1이 50년 안에 사하라 사막과 같은 기온에서 살게 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거주지의 기온이 연평균 섭씨 29도를 웃돌 것이란 암울한 관측이다.

미국과 유럽, 중국 등의 과학자들로 구성된 연구팀은 5일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에 이런 내용의 논문을 발표하고 국제사회에 신속한 온실가스 감축 행동을 촉구했다. 인류는 수천년 동안 대부분 연평균 기온 섭씨 11~15도 사이의 매우 좁은 기후대에 거주해왔다. 과학기술을 통해 자연조건을 극복해왔지만, 모든 생물종이 환경적으로 적합한 조건을 선호하는 것에는 인간도 예외가 아니기 때문이다.

연구팀이 기후변화에 따른 지구 온도 변화를 분석해본 결과, 온실가스가 현재 추세로 계속 배출될 경우 50년 안에 세계 인구의 3분의 1이 거주하는 지역의 연평균 기온이 섭씨 29도를 넘을 것으로 예측됐다. 이런 기후 환경은 사하라 사막에서도 가장 더운 지역과 비슷한 수준이다. 현재 전체 육지의 0.8%에 해당하는 이런 기온대가 아프리카 중북부, 남아메리카 북부, 인도 대부분은 물론 오스트레일리아 북부까지 확산해 19%로 늘어난다는 것이다. 연구팀이 대규모 이주 등은 고려하지 않고 인구 증가만을 따져봤더니, 2070년에 이런 환경에 놓이게 될 인구는 전체의 30%인 35억명이 될 것으로 추산됐다.

6000년 전 호수였다가 말라붙은 길이 500㎞, 폭 150㎞, 깊이 160m인 사하라 사막 남부의 보델레 함몰지 위성 사진. 연간 100일 동안 모래폭풍이 일어난다.
6000년 전 호수였다가 말라붙은 길이 500㎞, 폭 150㎞, 깊이 160m인 사하라 사막 남부의 보델레 함몰지 위성 사진. 연간 100일 동안 모래폭풍이 일어난다. ⓒ한겨레/미항공우주국(NASA)

연구팀은 기후변화가 계속될 경우 50년 뒤 지구 온도는 산업화 이전 대비 3도의 상승 폭을 보이게 되지만, 인류가 체감할 상승 폭은 2.3배 높은 7.5도에 이를 것으로 분석했다. 인간이 주로 거주하는 육지가 해양보다 빨리 더워질 뿐 아니라, 인구 증가가 기온이 높은 곳을 중심으로 이뤄질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이 연구를 기획한 바헤닝언대학 마르턴 셰퍼 교수는 “코로나바이러스는 불과 몇달 전에는 예측할 수 없었던 변화를 몰고 왔다. 기후변화도 비슷한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지구의 광범위한 지역들이 사람이 살 수 없는 수준으로 더워지고 기온은 다시 떨어지지 않을 것이다. 이러한 재앙을 막을 유일한 방법은 빠르게 탄소 배출량을 줄이는 것”이라고 말했다.

코로나19의 세계적 대유행에 의한 인간 활동 위축은 지구 온난화에는 일단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평가된다. 세계에너지기구(IEA)는 최근 발표한 ‘2020 세계 에너지 검토’ 보고서에서 올해 세계 에너지 소비량이 6% 감소하면서 이산화탄소 배출도 8% 줄어들 것으로 전망했다. 이 배출량 감소 폭은 코로나 사태가 장기화할 경우 더 커질 수도 있지만 결국 경제가 회복되면서 급반등할 것이라는 우려가 크다.

저작권자 © 허프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연관 검색어 클릭하면 연관된 모든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나사 #지구 #기후 #인류 #기후 변화 #사하라 사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