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형제복지원 사건' 피해자들이 당시의 끔찍했던 기억을 털어놨다

부산시의 설문 및 심층면접 결과가 나왔다.

자료 사진
자료 사진 ⓒ뉴스1

1980년대 대표적 인권유린 사례인 ‘부산 형제복지원 사건’에 대한 피해자 실태조사 결과가 나왔다.

26일 국제신문 등에 따르면 부산시는 24일 부산시의회 중회의실에서 ‘형제복지원 피해자 실태조사 연구용역 최종보고회’를 열었다. 조사를 맡은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은 이 자리에서 사건에서 살아남은 피해자들이 형제복지원 수용자들의 폭행 사망과 극단적 선택을 본 적이 있고 시신처리 과정도 목격했다고 밝혔다.

형제복지원 사건은 당시 내무부 훈령에 근거해 1975년부터 1987년까지 부랑인 단속을 명분으로 3000명 이상의 무고한 시민을 강제 감금 및 노역, 폭행·살인과 강간 등을 저지른 인권유린 사건이다. 이 사건의 공식적 사망자는 551명에 달한다. 1987년 탈출하려던 원생 한 명이 직원의 구타로 사망하고 35명이 집단 탈출하는 사건이 발생하면서 수면 위로 올라왔다.

협력단은 1975년부터 1987년 사이 형제복지원 수용 경험이 있는 피해자 14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피해자 30명, 피해자 유가족 10명에게는 심층면접도 이뤄졌다.

이날 발표된 조사 결과에는 피해자들의 참상이 고스란히 담겼다. 피해자 A씨는 형제복지원장 사택에 인터폰을 수리하러 갔다가 지하에서 피가 흥건한 고문실을 발견했다며 ”소대장이나 주변 사람들의 이야기를 들어보니 적어도 원장이 40여 명은 직접 죽인 것 같다”고 증언했다.

복지원에서 강간을 당해 임신했다는 피해자 B씨는 “방학 때 오빠 집을 찾아 부산에 왔는데 한 경찰이 파출소로 데려갔고, 이곳에서 강제로 형제복지원으로 끌려갔다”고 토로했다.

국민일보는 이번 조사에 참여한 여성은 6명 뿐이며 이는 당시의 끔찍한 기억을 다시 떠올려야 하는 일이 힘들어 침묵하는 여성이 많아서라고 알렸다. 재원 피해자 심층 면접을 총괄한 유숙 송국클럽하우스 소장은 매체에 “성폭력에 노출된 여성피해자분들은 당시 이야기를 꺼내면 아무 말을 못하고 울거나 인터뷰자리를 박차고 나가 숨기도 했다”며 “기억하지 않으려는 방어기제”라고 말했다.

협력단에 따르면 피해자들의 상당수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복합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CPTSD)를 겪고 있었다. 또 경제적 박탈 문제도 심각했다.

또 조사 대상 149명 중 수용자들은 당시 15세 이하가 74.5%로 가장 많았으며, 79.7%가 납치 또는 강제 연행으로 수용됐다고 밝혔다.

앞서 2018년 문무일 당시 검찰총장오거돈 당시 부산시장은 형제복지원 피해자에게 직접 공식 사과했다. 특히 문 총장은 형제복지원 사건의 대법원 판결이 잘못됐다면서 비상상고도 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해 부산시가 형제복지원 사건 진상규명과 피해 생존자 지원을 위한 조례를 제정하고 나서 이뤄졌다. 같은 해 7월 연구용역에 착수했다.

저작권자 © 허프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연관 검색어 클릭하면 연관된 모든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범죄 #살인 #부산 #홀로코스트 #형제복지원 #인권유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