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평창올림픽이 먼 미래에도 '흑자 올림픽'으로 기억될 방법

2018 평창동계올림픽 ‘대회 운영 비용’이 흑자를 기록할 전망이다. 26일 머니투데이에 따르면 이희범 평창동계올림픽 조직위원장은 ”끝나 봐야 알겠지만 흑자가 예상된다”고 말했다. 여기에는 기업의 적극적 후원과 기대 이상의 입장권 판매, 그리고 수호랑 등 캐릭터 상품의 인기 등이 영향을 미쳤다고 한다.

ⓒKai Pfaffenbach / Reuters

전체 평창올림픽 투입 예산 14조2000억원 중 흑자가 난 건 ‘대회 운영 비용’ 3조원 가량이다. 철도·도로 등의 사회간접자본과 경기장 건설 등 인프라 비용에는 대략 11조원이 들어갔으며, 추가적인 유지비용은 향후 지속적으로 들 전망이다.

리우, 소치 등 앞서 올림픽을 열었던 도시들이 ‘올림픽 후유증‘을 겪은 것에는 이 인프라 비용 탓이 컸다. 평창올림픽이 이들의 전철을 밟지 않고 ‘흑자 올림픽’으로 남기 위해서는 올림픽이 끝난 지금부터가 더욱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올림픽 시설물의 사후 활용 대책이 아직까지 뚜렷하게 마련돼 있지 않기 때문이다.

동아일보에 따르면 올림픽 스타디움을 제외한 올림픽 경기장 12곳 가운데 관리 주체가 정해지지 않은 건 강릉스피드스케이팅경기장, 강릉 하키센터, 알펜시아 슬라이딩센터 그리고 정선 알파인경기장 4곳이다. 

ⓒJamie Squire via Getty Images

이 중 강릉스피드스케이팅경기장, 강릉 하키센터, 알펜시아 슬라이딩센터 등 3곳은 국가대표 훈련 시설로 활용하자는 계획만 있는 상태다. 유지비용은 만만치 않다. 각각 연간 22억, 21억, 9억 이상이 든다. 정선 알파인경기장은 예외적으로, 산림청에서 복원을 진행한다. 경기장 건설 비용과 복원 비용을 합치면 약 3000억원이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시설 실소유주인 강원도는 중앙정부의 지원을 바라고 있다. 스포츠월드에 따르면 강릉시는 스피드스케이팅경기장과 강릉하키센터를 ‘강원도와 정부의 지원이 있을 시’ 조건부로 운영할 수 있다고 밝혔으나, 아직까지 정부의 답은 나오지 않았다.

스포츠서울에 따르면 최문순 강원도지사는 ”원래 일부는 철거하고 일부는 기업에 매각하는 형태의 사후 활용을 고려했으나 올림픽을 치르면서 유지하자는 의견으로 바뀌었다”며 “2021년 동계아시안게임 남북공동개최를 추진해 활용하겠다”는 방안을 내놨다. 그러나 동아일보는 이런 일회성 행사만으로는 재정 문제를 해결하기는 어려울 것이라 내다봤다. 유지비용 등을 고려하자면,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활용이 재정 해결에 더 큰 도움이 된다는 것.

ⓒnews1

1998 일본 나가노 올림픽은 ‘최첨단 올림픽‘을 지향하며 경기장을 지었으나, 매년 억대 유지비용을 잡아먹는 ‘흰 코끼리’가 되고 말았다. 당시 나가노시는 경기장 사후 활용을 위해 올림픽 주경기장을 야구장으로 전환하는 등 경기장을 생활체육시설로 전환했으나, 인구가 40만에 불과해 손해를 메우기 쉽지 않았다. 강릉시와 평창군의 인구는 2017년 말 기준 각각 21만여명, 4만여명으로 합쳐도 나가노시의 절반 수준이다. 1998년의 나가노는 2018년 평창의 반면교사인 셈이다.

토마스 바흐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위원장은 이번 올림픽에 ”선수촌과 경기시설에 만족하지 못한다는 사람을 못 봤다”라고 찬사를 보냈다. 긴 시간이 지난 후에도 이런 찬사가 기억될 수 있으려면, 정부와 조직위, 그리고 지자체가 협력해 가장 효율적인 활용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허프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연관 검색어 클릭하면 연관된 모든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평창동계올림픽 #스포츠 #뉴스 #평창올림픽 #2018 평창동계올림픽 #경제 #흑자올림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