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이보영이 "출산 후 솔직히 아기가 예쁘지 않았다"며 한 말들

"왜 사람들은 엄마에게만 '모성애'를 강요하는 걸까요?"

ⓒNews1

‘엄마는 태어난 아기를 너무나도 사랑하며, 뭐든 할 수 있을 정도로 헌신한다.’

‘모성애는 엄마로서의 본능이다.’

‘엄마‘라는 존재에 대한 사회의 이러한 통념은 사실 ‘현실의 엄마’들을 힘들게 한다.

배우 이보영 역시 마찬가지다.

배우 지성과 2013년 결혼한 뒤, 2015년 딸 지유를 출산한 이보영은 ‘엄마’이기 때문에 쏟아지는 주변의 시선으로 힘들었다고 말한다.

아래는 이보영이 tvN ‘마더’ 종영 차 OSEN 기자와 진행한 인터뷰에서 한 말들. 이보영은 작품과 모성애, 딸 지유와 극 중 딸인 윤복의 얘기를 꺼내며 인터뷰 도중 펑펑 눈물을 흘린 것으로 전해진다.

또한, 이보영은 함께 육아에 몰두한 남편 지성 덕분에 힘들었던 시간을 버틸 수 있었다고 말한다. 이보영이 배우로 빨리 복귀할 수 있도록, 지성이 함께 육아를 하면서 마음을 추스를 수 있었다는 것. 

(출산 후) 내 몸이 너무 힘드니까 솔직히 아기가 예뻐 보이지 않았다.

영화에서 본 것처럼, (출산 후) 아이를 안았는데 왜 눈물이 안 날까 싶었다.

(그 후) 1달, 2달, 3달 아이를 키우면서 너무너무 예쁘더라.

낳는다고 생기는 모성애 이상이 ‘키우면서 생기는 모성애’라는 걸 알았다.

 

2015년에 딸을 낳고 고민하던 문제가 ‘왜 나한테만 모성애를 강요하지?’ ‘왜 엄마인 나만 아이를 돌봐야 하지?’ ‘신랑이 아기를 안고 있으면 왜 대단하다고 칭찬하지?’였다. 순간순간 울컥했다.

(반면) 아이가 아빠 품이 넓어서 안겨있는 걸 보는 분들이 신랑한테 ‘고생 많다’고 인사하시더라.

아이를 낳아 축하를 받았지만, 엄마라는 이유로 관계없는 이들에게 혼나는 기분이었다.

 

우리 엄마를 제외한 모두가 저한테 ‘밤중 수유‘를 권하더라. 엄마만 제가 힘드니까 ‘하지 말라’고 했다.

(그런데) 나만 밤중 수유를 안 하는 걸 알고, ‘나는 아이를 사랑하지 않는 건가?’ ‘나는 나쁜 엄마인가?’ 고민이 생겼다.

하지만 엄마의 모습은 다양할 뿐이다. 못된 엄마, 헌신적인 엄마처럼. ‘엄마는 이래야 돼’ 이렇게 생각하고 싶지는 않았다.

 

프랑스의 여성 철학자 엘리자베트 바댕테르는 책 ‘만들어진 모성’에서 모성애는 태생적으로 주어지는 게 아니라 ‘근대가 발명한 역사적 산물’이라는 주장을 내놓은 바 있다.

모성애는 여성의 본능일까, 아니면 여성이 사회적 역할에 충실하도록 만들어진 규범일까. ‘모성애‘에 대해 더 알아보고 싶은 사람들은 ‘모성애의 본질에 관해 파헤친 역작’으로 평가받는 이 책을 한번 읽어보는 것도 좋겠다.

저자는 17~18세기까지 존재하지 않았던 모성애가 19~20세기에 갑자기 극대화되어 나타났고, 1960년대 이후 모성 감정이 다시 쇠퇴하면서 부성애라는 새로운 사랑이 등장했다고 결론짓는다. 모성애는 여성의 전유물이 아니며 어머니들이 그랬던 것처럼 아버지도 그렇게 자기 자식을 사랑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저자는 아버지와 어머니의 역할에 더는 차이가 없으며, 아리스토파네스의 신화에 나오는 ‘양성일체’의 생명체와 같이 미래에 남성과 여성이 합심해서 새로운 낙원을 창조할 수 있을 것이라는 희망을 띄웠다.(시사저널 2009년 2월 24일)

저작권자 © 허프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연관 검색어 클릭하면 연관된 모든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여성 #출산 #아기 #남편 #엄마 #육아 #이보영 #마더 #모성애